본문 바로가기
2010.02.23 14:06

진정코

조회 수 9068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진정코

'떠나는 이 마음도 보내는 그 마음도 / 서로가 하고 싶은 말 다할 수는 없겠지만 / … / 너만을 사랑했노라 진정코 사랑했노라…', '그리우면 왔다가 싫어지면 가버리는 / 당신의 이름은 무정한 철새 / 진정코 내가 싫어 그러시나요…'. 대중가요 '석별'과 '당신은 철새'의 노랫말이다. 두 노랫말에 쓰인 '진정코'라는 단어는 널리 쓰이지만 현행 표기법에 어긋난다. '진정(眞正)'으로 고쳐야 옳다. '진정' 뒤에는 접미사 '-코'가 들어갈 수 없기 때문이다. '-코'는 '결단코/한사코/기어코/결코'처럼 일부 한자 어근이나 명사 뒤에 붙어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그런데 '진정'은 그 자체로 '거짓이 없이 참으로'를 뜻하는 부사다. 그러므로 재차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코'가 들어갈 필요가 없다.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진정 행복한 일입니다 / 당신을 이렇게 뵙게 되어 진정 기쁩니다'처럼 써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진정코 사랑한 내 영혼의 첫사랑 / 사법부의 독립을 진정코 외쳤다 / 국민을 진정코 섬기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했다'처럼 강조의 의미로 '진정코'를 널리 쓰고 있다는 점이다. 언어도 살아 움직인다. 단순히 문법적인 이유로 '진정코'를 버려야 하는지는 좀 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우리와 달리 북한에서는 '진정코'를 인정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9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4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202
2996 계피떡 바람의종 2011.11.16 11889
2995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59
2994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660
2993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941
2992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9025
2991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87
2990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914
2989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86
2988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84
2987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76
2986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652
2985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201
2984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1064
2983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708
2982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37
2981 고명딸 風磬 2006.09.16 15973
2980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378
2979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317
2978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564
2977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70
2976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495
2975 고뿔 風磬 2006.09.16 158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