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60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풀 아래 웃음짓는 샘물같이/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오늘 하루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 '비 개인 5월 아침/혼란스런 꾀꼬리 소리/찬엄(燦嚴)한 햇살 퍼져 오릅내다'-. 김영랑의 아름다운 시들이다. '햇살' '햇발'로 고운 봄과 이맘때의 눈부신 5월을 노래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말은 해가 비치는 현상을 가지고도 '햇빛' '햇볕' '햇살' '햇발' 등으로 다양하고 세밀하게 표현하고 있다.
'햇빛'은 밝게 해 주는 빛, '햇볕'은 해가 내리쬐는 뜨거운 기운, '햇살'은 해가 내쏘는 광선, '햇발'은 사방으로 뻗친 햇살을 일컫는다.

*마침내 [햇빛(○), 햇볕(×)]을 보다 *따사로운 [햇빛(×), 햇볕(○)]을 쬐다 *눈부신 [햇살(○), 햇빛(×)]이 비치다 *따가운 [햇빛(×), 햇볕(○)]이 쏟아지다 등처럼 달리 쓰인다.

이와 같이 우리말은 어휘가 다양하고 정교하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과학적이고 분석적이다. 이들 낱말을 제대로 가려 써야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고 우리말의 풍부한 표현력을 살릴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98
3348 올곧다 바람의종 2007.03.03 14067
3347 우레 바람의종 2007.03.03 8917
3346 우려먹다(울궈먹다) 바람의종 2007.03.03 14013
3345 웅숭깊다 바람의종 2007.03.03 17130
3344 을씨년스럽다 바람의종 2007.03.15 9938
3343 이녁 바람의종 2007.03.15 13988
3342 자그마치 바람의종 2007.03.16 11498
3341 자라목 바람의종 2007.03.16 7580
3340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391
3339 장가들다 바람의종 2007.03.22 10313
3338 제비초리 바람의종 2007.03.23 14039
3337 적이 바람의종 2007.03.23 7336
3336 젬병 바람의종 2007.03.24 10607
3335 조바심하다 바람의종 2007.03.24 6672
3334 조카 바람의종 2007.03.26 11109
3333 줄잡아 바람의종 2007.03.26 11136
3332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559
3331 지름길 바람의종 2007.03.27 6587
3330 진저리 바람의종 2007.03.28 8029
3329 쫀쫀하다 바람의종 2007.03.28 10161
3328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07.03.29 8643
3327 칠칠하다 바람의종 2007.03.29 80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