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1 16:26

학여울

조회 수 1049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학여울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이란 노랫말에서 느껴지는 것처럼 한 사람의 따뜻한 관심은 사회의 활력소로 작용합니다. 매미 소리에 녹음이 짙어갈 무렵 새 우리말 바루기'납량하는 사람들'(22회·8월 3일자)을 보고 50대 중반의 독자께서 관심을 가지고 질문하셨습니다. '납량→남냥''납양→나'의 발음에 더해 서울 지하철 역'학여울'의 발음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언뜻 보면'학여울'은 '납양→나'처럼 '하겨울'로 발음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표준어 규정에 '합성어 및 접두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이·야·여·요·유'인 경우에는'ㄴ'소리를 첨가하여 [니·냐·녀·뇨·뉴]로 발음한다'가 있습니다. 이 규정에 따르면 받침이 'ㄱ'인 말과 '이, 여'로 시작하는 말이 만나면 받침 'ㄱ'은 'ㅇ'으로 바뀌고 뒤 음절의 '이, 여'는 '니, 녀'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색연필[생년필], 늑막염[늑망념], 막일[망닐] 등이 그런 예입니다. 이는 물론 합성어나 접두파생어일 때만 일어나는 현상이지요. '합성어'란 둘 이상의 실질 형태소(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가 결합해 하나의 단어가 된 말입니다. '집안(집+안)' '돌다리(돌+다리)'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학여울'도 '학(鶴)'과'여울'의 합성어입니다. 이 때문에 위의 발음 규정에 따라'학여울'에'ㄴ'음이 첨가돼'학녀울'이 된 뒤, 여기에서 자음동화가 일어나'항녀울'이 되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3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785
3260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20
3259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221
3258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222
3257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23
3256 까치발 風文 2023.11.20 1223
3255 ‘~스런’ 風文 2023.12.29 1225
3254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28
3253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230
3252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230
3251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230
3250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232
3249 김 여사 風文 2023.05.31 1233
3248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234
3247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234
3246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236
3245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237
3244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237
3243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39
3242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241
3241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242
3240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43
3239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2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