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9 13:45

복합어와 띄어쓰기

조회 수 1242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복합어와 띄어쓰기

올 여름 고온 현상으로 연근해 바닷물이 뜨거워지자 오징어가 '먼바다'로 나가 어획량이 예년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고 한다. 연근해(沿近海)는 육지에서 가까운 바다다. 순 우리말로는 '앞바다'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넓은 바다는 '난바다'라고 한다. 여기서 '먼바다'는 '먼 바다'로 띄어 써야 한다. 기상예보 용어로의 '먼 바다'는 동해 20㎞, 서해·남해는 40㎞ 밖의 바다를 말한다. 동해 쪽 20㎞, 서해·남해 쪽 40㎞ 이내는 '앞바다'다. '바다의 물결은 앞바다 1.5m, 먼 바다 2m로 일겠습니다'와 같이 쓰인다.

경기 침체가 길어지자 모두 '죽을 맛'이라고 아우성친다. '쓴 맛, 매운 맛' 다 봤으니 '살 맛' 나는 세상이 그리울 만하다. 여기서 '쓴 맛, 매운 맛, 살 맛'은 '쓴맛·매운맛·살맛'으로 붙여 써야 한다. 어떨 때 띄어 쓰고, 어떨 때 붙여 쓰나. 우리글 띄어쓰기의 큰 원칙은 낱말(단어)마다 띄어 쓰는 것이다. 단어는 형태론적으로 '빵·하늘' 같은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뉜다. '살맛'은 형태상 두 낱말(生+味)로 보여도 두 요소가 합쳐져 새로운 의미(세상을 살아가는 재미나 의욕)를 갖는 복합어이므로 붙여 써야 한다.

'먼 바다''죽을 맛'은 아직 사전에서 복합어로 대접하지 않는다(본지는 국가기관인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을 판단의 준거로 함). 따라서 띄어 써야 한다. 다음 회부터 어려운 용어가 꽤 나옵니다. 다음을 띄어 쓰면서 머리를 식혀 보세요. '너무지개같다'(7월 15일자 '굿데이 유머'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6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639
2952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18
2951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26
2950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532
2949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39
2948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550
2947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605
2946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618
2945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0
2944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46
2943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649
2942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49
2941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1.12 5659
2940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660
2939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668
2938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677
2937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679
2936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82
2935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84
2934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693
2933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706
2932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710
2931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