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2 02:58

간지럽히다

조회 수 937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간지럽히다

'물속에 발을 담그면 물고기들이 몰려들어 발가락을 간지럽히는 계곡-. 동화 속에나 나옴 직한 그런 인적 드문 골짜기가 아직도 이 땅에 남아 있다.'
'5월의 싱그러운 산들바람이 그들의 얼굴을 간질이며 지나갔다.'
'강아지풀을 뽑아 잠자는 동생의 콧구멍을 간지럼 태우자 동생은 잠결에 코끝을 비벼댔다.'

'간지럼 태우다' '간지럼 먹이다'를 한 단어로 표현할 경우 '간질이다'와 '간지럽히다' 중 어느 것이 맞을까? '간질이다'가 맞다. '간지럽히다'는 표준어가 아니다.

그런데 형용사 '간지럽다'를 (사)동사로 만들어 '간지럽히다'로 쓰는 것은 정말 잘못일까. '-히-'는 일부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사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괴롭히다(←괴롭다), 붉히다(←붉다), 어지럽히다(←어지럽다) 등이 그 예다. '간지럽히다'는 이들과 같은 형태다. 맞춤법에서 '간지럽히다'를 비표준어로 규정해 버리면 그만이다. 그러나 다들 잘 알고 있다시피 언어는 스스로 생성하고 소멸한다. 실제 언어생활에서도 '간질이다'보다 '간지럽히다'가 훨씬 많이 쓰인다. 사람들이 쓰지 않으면 그 말은 사어(死語)가 된다. '덥다'의 사동사 '덥히다'가 많이 사용돼 새로 표준말이 된 것처럼 '간지럽히다'에도 생명을 주는 것이 좋지 않을까.

현실에서도 많이 쓰이며, 우리말 만들기 규칙에도 어긋나지 않는다. 간질이다, 간지럽히다, 간지럼 태우다 등 우리말 표현의 다양성을 위해서도 '간지럽히다'를 복수표준어로 허용해 주는 것이 낫지 않을까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37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7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720
311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363
31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489
309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842
30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671
307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13
306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04
305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341
304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566
»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373
302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336
301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256
300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567
299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131
29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770
297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383
296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38
295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023
294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145
29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355
292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596
291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0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