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3 01:22

지긋이, 지그시

조회 수 1046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긋이, 지그시

'아랫입술을 지긋이 깨물었다'와 '아랫입술을 지그시 깨물었다' 중 어느 것이 바를까요? '물고기가 물 때까지 지그시 기다리다'와 '물고기가 물 때까지 지긋이 기다리다'는요?

'지그시'는 두 가지 뜻으로 사용되는 부사입니다.

첫째는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면
'손바닥을 사용해 눈가를 지그시 눌러주면 피곤한 눈을 진정시켜 줄 수 있다'
'질화로는 지그시 누르는 넓적한 불돌 아래, 밤새도록 저 혼자 불을 지니고 보호하는 미덥고 덕성(德性)스러운 것이었다'
'그는 지그시 눈을 감았다' 와 같이 쓰입니다.

둘째는 '아픔이나 어려움을 조용히 참고 견디는 모양'을 표현합니다.
'두통을 지그시 참다' '그의 태도에 분노가 일었지만 지그시 참았다' 등의 '지그시'가 그런 사례입니다.

'지긋이'는 '지긋하다'에서 온 부사이며 역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나이가 비교적 많아 듬직하다'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예를 들면
'앞에 앉은 남자 두 명은 나이가 지긋이 들어 보였다'와 같은 경우에 사용합니다.
둘째는 '참을성 있고 끈지게'라는 뜻으로 씁니다.
'우경이는 아직 어려서 책상 앞에 지긋이 앉아 있지 못 한다'
'그렇게 안달하지 말고 지긋이 기다려 봐' 에서 '지긋이'는 '끈기 있게'라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서두에 나온 문제 중 첫째 것은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을 나타내므로 '지그시'가 맞고, 둘째 것은 '끈기 있게'의 뜻이므로 '지긋이'가 맞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0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606
2952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844
2951 지지부진 바람의종 2010.08.17 11075
2950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바람의종 2011.12.22 21127
2949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80
2948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977
2947 지양과 지향 바람의종 2010.08.07 12125
2946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008
2945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418
2944 지슬 風文 2020.04.29 1398
2943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540
2942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505
2941 지리한 -> 지루한 바람의종 2012.06.13 10489
2940 지리하다,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8.12.26 10863
2939 지리하다 바람의종 2009.07.31 9429
2938 지름길 바람의종 2007.03.27 6589
2937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572
2936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40
2935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5907
2934 지다 바람의종 2010.08.15 11609
2933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03
2932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419
» 지긋이, 지그시 바람의종 2008.11.13 104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