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7 03:08

깍둑이, 부스럭이

조회 수 1333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깍둑이, 부스럭이

뻐꾸기, 꾀꼬리, 개구리와 같은 이름은 그 동물의 소리 '뻐꾹, 꾀꼴, 개굴'과 관련이 있다. 또 '제트기'를 속되게 이르는 말인 '쌕쌕이'나 욕심이 많은 사람을 돼지에 비유해 이르는 말인 '꿀꿀이'도 그 물체나 동물이 내는 소리인 '쌕쌕' '꿀꿀'과 관련이 있다. 그런데 왜 어떤 것은 그것이 내는 소리에 '이'를 붙여 명사를 만들고 어떤 것은 그러지 않을까? 모두 소리와 관련된 비슷한 형태인데 왜 달리 적을까? 그것은 어근 뒤에 '-하다'나 '-거리다'가 붙을 수 있는가에 따라 명사를 만드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한글맞춤법에 따르면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혀 적게 돼 있다. 즉 '꿀꿀' '오뚝' '쌕쌕' 등의 원래 형태를 살려주는 것이다(꿀꿀거리다→꿀꿀이, 눈 깜짝하다→눈깜짝이, 삐죽하다→삐죽이, 살살거리다→살살이, 쌕쌕거리다→쌕쌕이, 오뚝하다→오뚝이, 푸석하다→푸석이, 홀쭉하다→홀쭉이 등).

그러나 '-하다' '-거리다'가 붙을 수 없는 어근에 '-이'나 다른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가 붙어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개구리, 귀뚜라미, 기러기, 깍두기, 꽹과리, 날라리, 누더기, 두드러기, 딱따구리, 매미, 부스러기, 뻐꾸기, 얼루기 등). 위의 예 가운데 '깍두기''부스러기' 등은 '깍둑하다'나 '부스럭거리다'가 될 수 있지만 뜻으로 볼 때 꼭 여기에서 온 말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깍둑이' '부스럭이'로 적지 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7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3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245
3084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613
3083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614
3082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614
3081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615
3080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622
3079 환멸은 나의 힘 / 영어는 멋있다? 風文 2022.10.28 1624
3078 -분, 카울 風文 2020.05.14 1625
3077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640
3076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640
3075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654
3074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1654
3073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656
3072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658
3071 큰 소리, 간장하다 風文 2022.10.04 1672
3070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676
3069 망신 風文 2023.06.09 1680
3068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682
3067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685
3066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687
3065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702
3064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711
3063 웨하스 / 염장 風文 2020.06.10 17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