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3 12:14

통째/통채

조회 수 11856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통째/통채


많은 사람이 '통째로'를 '통채로'로 잘못 쓰는 경우를 자주 본다. 이는 발음상으로도 비슷하고, '-째'와 '-채'를 정확히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인 듯싶다. '통째로'는 '통째+로'의 형태다. '통째'는 나누지 않은 덩어리의 전부를 뜻하는데, 주로 '통째로' 꼴로 쓰인다. 비슷한 말로는 '통짜'가 있다. 그러므로 표기가 혼란스러울 때는 '통짜'를 생각하면 'ㅊ'이 아니라 'ㅉ'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뱀이 개구리를 통째로 삼켰다. /초기 수레바퀴는 살 없이 통짜로 돼 있었다).

'통째'에서 '째'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대로' 또는 '전부'의 뜻(뿌리째/껍질째)을 나타내는 접미사다. 또한 수량·기간을 나타내는 명사나 명사구와 수사 뒤에 붙어 '차례'의 뜻(사흘째/두 잔째/셋째)을 더하는 접미사로 쓰인다. 반면 '채'는 의존명사로 '-은/는 채로' 형태로 쓰여 이미 있는 상태 그대로라는 뜻(옷 입은 채로 물에 들어간다./노루를 산 채로 잡았다)을 나타내거나 집, 큰 기구, 기물, 가구, 이불, 가공하지 않은 인삼을 묶어 세는 단위(오막살이 한 채/가마 두 채/장롱 한 채/솜이불 한 채/인삼 한 채)등으로 쓰인다.

'-채'가 접미사로 쓰일 때는 몇몇 명사 뒤에 붙어 '구분된 건물 단위'의 뜻(바깥채/사랑채/행랑채)을 나타내는 경우다. 이렇듯 '-째'와 '-채'의 쓰임을 정확히 알아둔다면 '통째로'뿐 아니라 이와 관련된 말들을 바르게 쓸 수 있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57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0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062
3150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661
3149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662
3148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662
3147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663
3146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664
3145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667
3144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673
3143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673
3142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674
3141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675
3140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676
3139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678
3138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679
3137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685
3136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689
3135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692
3134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693
3133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694
3132 단골 風文 2023.05.22 1696
3131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697
3130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697
3129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6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