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5 05:13

'우레'가 운다

조회 수 7917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레'가 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봄부터 소쩍새는/그렇게 울었나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천둥은 먹구름 속에서/또 그렇게 울었나보다.'

'꽃'의 생성 비밀을 소재로 인생과 우주를 노래한 서정주의 시 '국화 옆에서'의 일부다. 인용한 시어 '천둥'과 같은 의미로 쓰는 우리말 중에 '우레'가 있다. '우레라니? 우뢰(雨雷)가 맞을 텐데'하며 미심쩍어하는 독자도 있을 게다. '우레'는 '하늘이 운다(鳴)'는 뜻에서 유래했다. '울다'의 어간 '울-'에 접사 '게'가 붙어 '울게'가 성립되고, 다시 '-ㄹ'아래에서 ㄱ이 탈락해 '울에'가 되는데, 여기서 앞글자 ㄹ받침이 뒷글자 첫소리에 붙어 '우레'가 된 것이다.

1988년 한글맞춤법이 개정되기 전에는 한자어 '비 우(雨), 천둥 뢰(雷)'에 이끌려 '우뢰'를 표준어로 사용했었다. 우리 옛말인 '우레'가 한자어에 밀려 빛을 보지 못했으나 이제는 '천둥'과 함께 표준어로 인정받고 있다. '우레'가 살아나면서 한자어 '우뢰'는 표준말 자격을 상실했다.

참고로 천둥은 한자어 '천동(天動)'이 원말인데 호도(胡桃)→호두, 통소(洞簫)→퉁소, 장고(杖鼓/長鼓)→장구 등의 예에서 보듯 한자 모음 'ㅗ'가 'ㅜ'로 변해 우리말이 된 경우다. 세찬 비바람 뒤에 오는 무서운 소리 '천둥'과 '우레'가 아름다운 창조만 하는 줄 알았는데 말 바루기의 숙제도 안겨줬다.

김준광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7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95
3392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1008
3391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바람의종 2010.08.14 12068
3390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599
3389 홀씨 바람의종 2010.03.09 15486
3388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763
3387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435
3386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914
3385 혼성어 風文 2022.05.18 1729
3384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239
3383 혹성, 행성, 위성 바람의종 2010.07.21 11385
3382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2.09.19 8747
3381 호프 바람의종 2011.11.21 13357
3380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276
3379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929
3378 호치키스 바람의종 2010.03.06 10217
3377 호우, 집중호우 / 큰비, 장대비 바람의종 2009.07.29 8492
3376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636
3375 호스테스 바람의종 2008.02.20 11601
3374 호송 / 후송 바람의종 2010.03.06 13786
3373 호분차 온나! file 바람의종 2010.03.26 12686
3372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459
3371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6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