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09.22 04:43

‘김치’와 ‘지’

조회 수 6992 추천 수 2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김치’와 ‘지’ - 고장말탐험

김치는 방언에서는 ‘짐치’ 또는 ‘지’라고 말한다. ‘짐치’는 한자어인 ‘짐 , 짐’에서 온 말이지만, ‘지’라는 말은 ‘디히>디>지’로 변한 아주 오래된 우리말이다. 표준어에서는 ‘배추지’의 ‘-지’를 명사로 보지 않고 ‘접미사’로 처리한다. ‘지’가 명사로 쓰일 때는 사투리로 처리한다.

‘지’에는 배추지·무수지(무지)·오이지·고들빼기지·파지·열무지 등이 있다. 배추나 열무로 김치를 처음 담글 때, 이 김치를 ‘쌩지’(생지)라고 말하고, 오래된 김치는 ‘묵은지’, 익은 김치는 ‘익은지’, 신 김치는 ‘신지’라 한다.

‘짓국’이란 반찬은 ‘김치 국물’이라는 뜻에다, ‘열무에 물을 많이 넣어 삼삼하게 담근 김치’를 말하기도 한다. 뒤쪽을 전라도에서는 ‘싱건지’라고 한다. 이는 ‘싱거운 김치’를 일컫는데, ‘싱겁다’에서 나온 것이다. ‘짓국’ 또는 ‘싱건지’를 ‘물김치’라고 하는 분들이 있는데, 표준어에는 없던 말로서 생긴 지 그리 오래된 말은 아니다.

‘짠지’는 ‘멸치짠지, 콩짠지’ 등을 말할 때 주로 쓰이는데, ‘짠 밑반찬’을 말한다. 때에 따라 ‘무가 흔할 때 소금에 절여두었다가 채를 썰어서 먹는 밑반찬’을 ‘짠지’라고도 한다. ‘멸치짠지, 콩짠지’는 고장말이고 표준어로는 ‘멸치조림, 콩조림’이라고 하는 줄 안다.

‘지’는 음절이 하나인 말이 갖는 불안정성 탓에 복합어에 주로 쓰이지만 온전한 말로 대접해야 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95
3282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바람의종 2010.11.21 12496
3281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721
3280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432
3279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274
3278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400
3277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127
3276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552
3275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577
3274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220
3273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375
3272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065
3271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401
3270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487
3269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701
3268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697
3267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410
3266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250
3265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652
3264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593
3263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476
3262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528
3261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