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09.22 04:43

‘김치’와 ‘지’

조회 수 6849 추천 수 2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김치’와 ‘지’ - 고장말탐험

김치는 방언에서는 ‘짐치’ 또는 ‘지’라고 말한다. ‘짐치’는 한자어인 ‘짐 , 짐’에서 온 말이지만, ‘지’라는 말은 ‘디히>디>지’로 변한 아주 오래된 우리말이다. 표준어에서는 ‘배추지’의 ‘-지’를 명사로 보지 않고 ‘접미사’로 처리한다. ‘지’가 명사로 쓰일 때는 사투리로 처리한다.

‘지’에는 배추지·무수지(무지)·오이지·고들빼기지·파지·열무지 등이 있다. 배추나 열무로 김치를 처음 담글 때, 이 김치를 ‘쌩지’(생지)라고 말하고, 오래된 김치는 ‘묵은지’, 익은 김치는 ‘익은지’, 신 김치는 ‘신지’라 한다.

‘짓국’이란 반찬은 ‘김치 국물’이라는 뜻에다, ‘열무에 물을 많이 넣어 삼삼하게 담근 김치’를 말하기도 한다. 뒤쪽을 전라도에서는 ‘싱건지’라고 한다. 이는 ‘싱거운 김치’를 일컫는데, ‘싱겁다’에서 나온 것이다. ‘짓국’ 또는 ‘싱건지’를 ‘물김치’라고 하는 분들이 있는데, 표준어에는 없던 말로서 생긴 지 그리 오래된 말은 아니다.

‘짠지’는 ‘멸치짠지, 콩짠지’ 등을 말할 때 주로 쓰이는데, ‘짠 밑반찬’을 말한다. 때에 따라 ‘무가 흔할 때 소금에 절여두었다가 채를 썰어서 먹는 밑반찬’을 ‘짠지’라고도 한다. ‘멸치짠지, 콩짠지’는 고장말이고 표준어로는 ‘멸치조림, 콩조림’이라고 하는 줄 안다.

‘지’는 음절이 하나인 말이 갖는 불안정성 탓에 복합어에 주로 쓰이지만 온전한 말로 대접해야 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5956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7547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7Oct
    by 바람의종
    2007/10/27 by 바람의종
    Views 6976 

    ‘강한 바람’만인가?

  5. No Image 24Nov
    by 風文
    2023/11/24 by 風文
    Views 1313 

    ‘개덥다’고?

  6. No Image 09Jan
    by 風文
    2024/01/09 by 風文
    Views 1311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7. No Image 24Sep
    by 風文
    2022/09/24 by 風文
    Views 1202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8. No Image 13Oct
    by 風文
    2023/10/13 by 風文
    Views 1350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9. No Image 25Apr
    by 바람의종
    2007/04/25 by 바람의종
    Views 6891 

    ‘경우’ 덜쓰기/최인호

  10. No Image 08Apr
    by 바람의종
    2008/04/08 by 바람의종
    Views 8043 

    ‘고마미지’와 ‘강진’

  11. No Image 26Apr
    by 바람의종
    2010/04/26 by 바람의종
    Views 10221 

    ‘곧은밸’과 ‘면비교육’

  12. No Image 01Nov
    by 風文
    2023/11/01 by 風文
    Views 1376 

    ‘괴담’ 되돌려주기

  13. No Image 07Feb
    by 바람의종
    2010/02/07 by 바람의종
    Views 7734 

    ‘그러지 좀 마라’

  14. No Image 29Sep
    by 바람의종
    2007/09/29 by 바람의종
    Views 12130 

    ‘기쁘다’와 ‘즐겁다’

  15. No Image 30Mar
    by 바람의종
    2010/03/30 by 바람의종
    Views 17856 

    ‘긴장’과 ‘비난수’

  16. No Image 22Sep
    by 바람의종
    2007/09/22 by 바람의종
    Views 6849 

    ‘김치’와 ‘지’

  17. No Image 09May
    by 바람의종
    2010/05/09 by 바람의종
    Views 13445 

    ‘꾹돈’과 ‘모대기다’

  18. No Image 21Feb
    by 風文
    2024/02/21 by 風文
    Views 1205 

    ‘끄물끄물’ ‘꾸물꾸물’

  19. No Image 07Jul
    by 風文
    2022/07/07 by 風文
    Views 1234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20. No Image 01Nov
    by 風文
    2023/11/01 by 風文
    Views 963 

    ‘내 부인’이 돼 달라고?

  21. No Image 15Aug
    by 바람의종
    2010/08/15 by 바람의종
    Views 22633 

    ‘넓다´와 ‘밟다´의 발음

  22. No Image 27Feb
    by 風文
    2023/02/27 by 風文
    Views 1110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23. No Image 31May
    by 바람의종
    2010/05/31 by 바람의종
    Views 10725 

    ‘달 건너 소식’과 ‘마세’

  24. No Image 02Apr
    by 바람의종
    2008/04/02 by 바람의종
    Views 6486 

    ‘당신의 무관심이 …’

  25.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10/05/28 by 바람의종
    Views 13661 

    ‘대틀’과 ‘손세’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