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7.23 10:31

해장

조회 수 1348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장

‘장학퀴즈’를 진행할 때의 일이다. ‘20주년 특집’을 만들기 위해 찾아간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 한-중 수교 직후였기에 홍콩과 베이징을 거쳐 한참을 에둘러 가야 했다. 지금도 눈앞에 선하게 펼쳐지는 칼바람 부는 하얼빈에서 ‘중국 인민’인 재중동포를 출연자와 방청객으로 모시고 진행한 ‘장학퀴즈 20주년 특집’ 제작은 쉽지 않았다. 방송 환경은 열악했고 무엇보다 ‘남쪽 말’과 ‘북쪽 말’의 미묘한 차이를 헤아려야 했다. 그들은 ‘퀴즈’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참여했다. “‘퀴즈’가 뭔가 했더니 ‘유희’구먼요….” 프로그램 녹화를 마치고 한숨 돌릴 즈음 출연 학생이 툭 내뱉은 한마디였다.

그럴듯한 ‘번역’이었다. ‘퀴즈’는 놀이하듯 풀어가며 뭔가를 알아가는 ‘유희’이기도 하니까 말이다. 얼마 전 한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에 ‘(역사극에 나오는) 사약은 무엇인가’ 묻는 문제가 나왔다. 정답은 ‘먹으면 죽는 약’(死藥)이 아닌 ‘임금이 하사한 약’(賜藥)이다. 이처럼 뜻이 헷갈리는 문제를 또 낸다면 ‘노점’을 출제할 수 있겠다. ‘노점’(路店)이라 지레짐작하는 이가 많기 때문이다. ‘길가의 한데에 물건을 벌여 놓고 장사하는 곳’(표준국어대사전)은 ‘노점’(露店)이다. ‘길’(路)이 아닌 ‘이슬’(露)인 까닭은 노천점포(露天店鋪), 그러니까 ‘한데(사방, 상하를 덮거나 가리지 아니한 곳)에 차린 가게’여서 그렇다.

노점을 ‘거리 가게’, ‘길 가게’로 다듬은 국립국어원의 순화안은 생뚱맞다. ‘노천’의 뜻을 헤아리지 않은 순화어이기 때문이다. ‘국어 순화’의 순화는 순수하게 하는 순화(純化)가 아니라, 잡스러운 것을 걸러내는 순화(醇化)이다. 술꾼과 뗄 수 없는 ‘해장’도 제 뜻 가늠해 쓰는 이 많지 않다. ‘창자(腸)를 풂’이 아닌 ‘숙취(?)를 풂’에서 온 말이 ‘해장’이다. 국어사전은 원말 ‘해정’(解<9172>)의 음이 변해 ‘해장’이 된 것으로 밝혀 놓았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5340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6850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7Oct
    by 바람의종
    2008/10/27 by 바람의종
    Views 13345 

    깍둑이, 부스럭이

  5. No Image 12Dec
    by 바람의종
    2011/12/12 by 바람의종
    Views 13344 

    추근대다, 찝적대다

  6. No Image 06Oct
    by 바람의종
    2009/10/06 by 바람의종
    Views 13316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7. No Image 24Mar
    by 바람의종
    2010/03/24 by 바람의종
    Views 13314 

    안절부절못하다

  8. No Image 07Oct
    by 바람의종
    2009/10/07 by 바람의종
    Views 13307 

    "~하에"

  9. No Image 16Aug
    by 바람의종
    2007/08/16 by 바람의종
    Views 13288 

    적자

  10. No Image 01Jun
    by 바람의종
    2010/06/01 by 바람의종
    Views 13288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11. No Image 30Mar
    by 바람의종
    2010/03/30 by 바람의종
    Views 13278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12. No Image 19Dec
    by 바람의종
    2010/12/19 by 바람의종
    Views 13267 

    전송과 배웅

  13. No Image 21Nov
    by 바람의종
    2011/11/21 by 바람의종
    Views 13262 

    호프

  14. No Image 27Mar
    by 바람의종
    2012/03/27 by 바람의종
    Views 13257 

    뒤처지다 / 뒤쳐지다

  15. No Image 05Feb
    by 바람의종
    2009/02/05 by 바람의종
    Views 13256 

    하락세로 치닫다

  16. No Image 19Apr
    by 바람의종
    2010/04/19 by 바람의종
    Views 13243 

    바치다,받치다,받히다

  17. No Image 15Mar
    by 바람의종
    2008/03/15 by 바람의종
    Views 13238 

    일본식 용어 - ㅌ ~ ㅎ : "政治는 일본식 우리식은 政事" - 김성동 / 소설가

  18. No Image 23Nov
    by 바람의종
    2009/11/23 by 바람의종
    Views 13215 

    목재가구 / 목제가구

  19. No Image 18Apr
    by 바람의종
    2010/04/18 by 바람의종
    Views 13210 

    ‘-율’과 ‘-률’

  20. No Image 21Nov
    by 바람의종
    2011/11/21 by 바람의종
    Views 13202 

    캥기다

  21.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08/01/19 by 바람의종
    Views 13199 

    심금을 울리다

  22. No Image 22Feb
    by 바람의종
    2009/02/22 by 바람의종
    Views 13191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23. No Image 06Nov
    by 風磬
    2006/11/06 by 風磬
    Views 13178 

    댕기풀이

  24. No Image 23Mar
    by 바람의종
    2010/03/23 by 바람의종
    Views 13166 

    양해의 말씀 / 기라성

  25. No Image 04Oct
    by 바람의종
    2010/10/04 by 바람의종
    Views 13162 

    교환 / 교체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