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13 21:03

피동문의 범람

조회 수 984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동문의 범람

우리말은 능동문으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하지만 요즘 이런저런 글들을 읽어보면 피동문이 범람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영어에는 피동문이 많다. 영어를 우리말로 옮길 때 피동문을 그대로 옮기는 바람에 우리말에까지 피동문이 늘어나지 않았나 싶다.

“국가인권위는 진보의 영역인데, 왜 진보가 아닌 인사가 임명되었느냐는 문제제기인 것이다.” 중앙 일간지 칼럼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왜 진보가 아닌 인사가 임명되었느냐”는 피동문으로서, 물음인 동시에 문제제기이다. 누구에게 묻고 누구에게 문제를 제기한 것인가? 문제제기 대상은 당연히 ‘임명권자’이겠지만, 피동문을 씀으로써 마치 “왜 당신 같은 사람이 임명되었느냐”고 ‘임명된 인사’에게 따지는 것처럼 되었다. 경험적 인식으로 그냥 능동으로 받아들이겠지만, 문장 형식으로 보면 그렇게 된다. 그러나 능동문으로 바꾸어 “왜 진보가 아닌 인사를 임명하였느냐”고 하면, 이 또한 물음인 동시에 문제제기인 것은 마찬가지다. 그러나 누구에게 묻고 누구에게 문제를 제기한 것인가 하는 데서는 달라진다. 대상은 ‘임명권자’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왜 저런 사람을 임명하였느냐”고 따지는 것이다.

물음과 문제제기의 대상을 누구로 하든 내용은 별로 달라질 것이 없다. 그러나 임명이 잘못되었다면 ‘자리에 앉은 사람’을 닦달하는 것이 아니라, ‘자리에 앉힌 사람’에게 문제를 제기하는 것으로 명확하게 쓰는 것이 반듯하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9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6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389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514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4209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218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369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974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349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215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947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454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415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705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697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497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2002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451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825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1127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629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246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5057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5369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8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