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6.20 15:28

마스카라

조회 수 1390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스카라

우리가 사용하는 외래어 중에는 화장 용어가 꽤 많다. 그래서 탈북 여성들이 남한에 정착하면서 겪는 어려움 가운데 하나가 화장품 사는 일이라고 한다. 속눈썹에 칠하여 이를 길고 진하게 보이도록 강조하는 제품을 ‘마스카라’(mascara)라 이른다. 원래는 에스파냐말로서, 탈·가면·마스크를 뜻하며, 어원적으로 영어 ‘마스크’(mask)와 연결되어 있다.

‘마스카라’는 19세기에 외젠 리멜(Eugene Rimmel)이 발명해 포르투갈말, 터키말, 루마니아말에서는 아직도 ‘리멜’을 ‘마스카라’라는 뜻으로 쓴다고 한다. 그러나 마스카라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17년 ‘메이벨린’이라는 회사가 개발한 ‘메이벨린 케이크 마스카라’(Maybelline Cake Mascara)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정작 에스파냐말 사용권에서는 이를 속눈썹 화장품이라는 뜻으로 쓰지 않는다.

마스카라는 목탄과 유지를 섞어 만들며 액체, 크림, 케이크 형태로 나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액체형 제품이다. 이 물건이 우리나라에 소개된 것은 아마도 일제강점기에 일본을 통해서였던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 발음은 철자를 읽어 만들어졌거나 일본말이 그대로 들어온 결과로 보인다. 이렇게 추정하는 이유는 ‘마스카라’가 ‘매스캐라’(미국식)나 ‘매스카라’(영국식)로 들어오지 않았고, 일본말의 ‘마스카라’(マスカラ)와 같은 꼴이기 때문이다.

김선철/문화체육관광부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0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7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451
3150 이녁 바람의종 2007.03.15 14195
3149 바투 바람의종 2010.11.10 14186
3148 동티가 나다 바람의종 2007.12.31 14184
3147 우려먹다(울궈먹다) 바람의종 2007.03.03 14177
3146 눌은밥, 누른밥, 누룽지 / 눌어붙다, 눌러붙다 바람의종 2009.05.28 14170
3145 진안주 바람의종 2010.10.30 14159
3144 절이다, 저리다 바람의종 2010.04.30 14158
3143 학부모 / 학부형 바람의종 2010.09.29 14145
3142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바람의종 2010.01.18 14136
3141 늘상, 노상, 천상, 천생 바람의종 2009.11.03 14128
3140 자문을 구하다? 바람의종 2010.05.05 14106
3139 여보 바람의종 2010.07.05 14106
3138 도매급으로 넘기다 바람의종 2010.04.24 14086
3137 폭발, 폭팔, 폭파시키다 바람의종 2010.02.25 14068
3136 응큼, 엉큼, 앙큼 바람의종 2010.01.14 14048
3135 참고와 참조 바람의종 2010.08.03 14044
3134 금세, 금새 / 여태, 입때 / 늘상, 항상 바람의종 2008.12.15 14044
3133 쪼달리다, 쪼들리다 / 바둥바둥, 바동바동 바람의종 2012.09.27 14034
3132 쌍거풀, 쌍가풀, 쌍꺼풀, 쌍까풀 바람의종 2012.07.27 14020
3131 토를 달다 바람의종 2008.02.01 13993
3130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974
3129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9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