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57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빼또칼’과 ‘총대가정’

어렸을 때 연필을 깎기 위하여 칼집이 있는 칼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던 일이 생각난다. 북녘에서는 주머니칼을 ‘빼또칼’이라는 생소한 이름으로 부른다. 문학작품에서는 “외진 데를 찾아서 두 필의 말을 끌고 가는 봉길이는 밋밋하게 비탈진 산언저리에 이르러 맞춤한 새초밭을 찾아냈다. 마른 풀을 뜯어 먹게 말들을 놓아 준 봉길이는 호주머니에서 칼집이 달린 빼또칼을 꺼내들고 새초를 베기 시작하였다. 말먹이 새초를 새로 마련함으로써 자기가 결코 어린애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배심이다.”(<백두산 기슭>,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8년, 9쪽)와 같은 예가 보인다. 이 경우 ‘맞춤한’은 ‘알맞은’의 뜻이고, ‘새초밭’은 ‘풀이 새로 난 풀밭’이라는 뜻이다.

북녘에는 ‘총대가정’이라는 가정이 있다. 이는 “가족 전체 또는 부자나 형제, 남매가 군에 입대하여 복무하는 등 일가족 모두가 총대를 메고 나선 가정”이다. 북녘 신문에는 “이제 머지않아 우리 집의 막내딸도 초소로 떠나게 된다. 그러면 우리 가정도 총대가정으로 된다. 총대가정, 이 영예롭고 성스러운 부름 앞에 언제나 떳떳하게 살고 싶은 것이 자식들을 초소에 내세운 우리 부모들의 심정이다.”(<로동신문> 2002년 3월1일치) 등으로 쓰인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52
2974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72
2973 고수레 風磬 2006.09.18 20601
2972 고슬고슬, 가슬가슬 / 찰지다, 차지다 바람의종 2010.06.08 11062
2971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898
2970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50
2969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1137
2968 고육지책, 궁여지책 바람의종 2012.09.28 11693
2967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501
2966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11
2965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331
2964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36
2963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80
2962 곤조 바람의종 2008.02.02 8853
2961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485
2960 곤죽 風磬 2006.09.29 12353
2959 곤혹과 곤욕 바람의종 2008.04.17 5778
2958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28
2957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622
2956 골덴 바람의종 2010.04.06 11778
2955 바람의종 2008.07.28 6330
2954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398
2953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7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