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51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빼또칼’과 ‘총대가정’

어렸을 때 연필을 깎기 위하여 칼집이 있는 칼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던 일이 생각난다. 북녘에서는 주머니칼을 ‘빼또칼’이라는 생소한 이름으로 부른다. 문학작품에서는 “외진 데를 찾아서 두 필의 말을 끌고 가는 봉길이는 밋밋하게 비탈진 산언저리에 이르러 맞춤한 새초밭을 찾아냈다. 마른 풀을 뜯어 먹게 말들을 놓아 준 봉길이는 호주머니에서 칼집이 달린 빼또칼을 꺼내들고 새초를 베기 시작하였다. 말먹이 새초를 새로 마련함으로써 자기가 결코 어린애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배심이다.”(<백두산 기슭>,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8년, 9쪽)와 같은 예가 보인다. 이 경우 ‘맞춤한’은 ‘알맞은’의 뜻이고, ‘새초밭’은 ‘풀이 새로 난 풀밭’이라는 뜻이다.

북녘에는 ‘총대가정’이라는 가정이 있다. 이는 “가족 전체 또는 부자나 형제, 남매가 군에 입대하여 복무하는 등 일가족 모두가 총대를 메고 나선 가정”이다. 북녘 신문에는 “이제 머지않아 우리 집의 막내딸도 초소로 떠나게 된다. 그러면 우리 가정도 총대가정으로 된다. 총대가정, 이 영예롭고 성스러운 부름 앞에 언제나 떳떳하게 살고 싶은 것이 자식들을 초소에 내세운 우리 부모들의 심정이다.”(<로동신문> 2002년 3월1일치) 등으로 쓰인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6131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2702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7749
    read more
  4. ‘도와센터’ ‘몰던카’

    Date2024.01.16 By風文 Views1307
    Read More
  5. ‘돌미’와 ‘살미’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001
    Read More
  6.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Date2010.05.07 By바람의종 Views13254
    Read More
  7. ‘뛰다’와 ‘달리다’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5517
    Read More
  8. ‘렷다’

    Date2010.04.27 By바람의종 Views9515
    Read More
  9. ‘로서’와 ‘로써’

    Date2009.12.04 By바람의종 Views9893
    Read More
  10. ‘막하다’

    Date2008.01.06 By바람의종 Views8036
    Read More
  11. ‘말밭’을 가꾸자

    Date2011.11.11 By바람의종 Views8807
    Read More
  12.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Date2022.09.11 By風文 Views954
    Read More
  13.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Date2024.03.27 By風文 Views1384
    Read More
  14. ‘며칠’과 ‘몇 일’

    Date2023.12.28 By風文 Views1032
    Read More
  15.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Date2009.12.01 By바람의종 Views10715
    Read More
  16. ‘모라’와 마을

    Date2008.02.10 By바람의종 Views7825
    Read More
  17. ‘물멀기’와 ‘싸다’

    Date2010.05.17 By바람의종 Views12867
    Read More
  18.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Date2010.04.23 By바람의종 Views11783
    Read More
  19. ‘부끄부끄’ ‘쓰담쓰담’

    Date2023.06.02 By風文 Views1236
    Read More
  20. ‘부럽다’의 방언형

    Date2007.10.11 By바람의종 Views9029
    Read More
  21. ‘붇다’와 ‘붓다’의 활용

    Date2010.01.14 By바람의종 Views11799
    Read More
  22. ‘빼또칼’과 ‘총대가정’

    Date2010.06.08 By바람의종 Views12515
    Read More
  23.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Date2022.08.21 By風文 Views1369
    Read More
  24. ‘선진화’의 길

    Date2021.10.15 By風文 Views1069
    Read More
  25. ‘수놈’과 ‘숫놈’

    Date2024.05.08 By風文 Views38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