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12 11:12

‘가녁’과 ‘쏘다’

조회 수 13809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녁’과 ‘쏘다’

우리가 좀처럼 들어 보기 어려운 말 가운데에는 ‘가녁’이라는 북녘의 말이 있다. “일정한 공간의 중심을 벗어난 변두리나 한쪽 모퉁이”를 가리킨다. 문학 작품에서는 “장군님께서 바위에 걸터앉으시자 회의 참석자들도 하나둘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최진동과 한영권을 비롯한 유격대 지휘관들은 지하 혁명조직 책임자들을 될수록 장군님 가까이에 앉히려고 마음을 쓰면서 자신들은 가녁에 자리를 잡았다.”(<근거지의 봄>,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214쪽)와 같은 예가 보인다.

북녘에서는 ‘쏘다’라는 말을 우리와는 좀 다른 의미로도 쓴다. “무엇이 쑤시고 찌르는 것처럼 아프다”로 쓰는 경우가 그것이다. 문학 작품에서 용례를 찾는다면 “어머님께서는 오늘 사하촌에 가셨다가 흐지부지되여 가는 부녀회원들의 야학을 바로세울 대책을 의논하실래기 반나절을 보내시고 돌아오시다가 다리가 너무 쏘아서 길가의 버드나무 그늘에 앉으시였다. 누렇게 익어가는 강냉이 밭이 바람도 없는데 우수수 설레였다.”(<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291쪽)와 같은 것이 있다.

‘의논하실래기’는 ‘의논하시려고’의 뜻이고, ‘설레다’의 경우는 우리는 ‘설레다’만 표준어로 인정하지만 북녘은 ‘설레다’와 ‘설레이다’를 다 문화어로 인정하고 있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570
312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838
3127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990
3126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705
3125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519
3124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8150
3123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404
3122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755
3121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826
3120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572
3119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342
3118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939
3117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837
3116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351
3115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745
3114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865
3113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863
3112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632
3111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430
3110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805
3109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521
3108 갑질 風文 2024.03.27 2455
3107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62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