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12 11:12

‘가녁’과 ‘쏘다’

조회 수 13686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녁’과 ‘쏘다’

우리가 좀처럼 들어 보기 어려운 말 가운데에는 ‘가녁’이라는 북녘의 말이 있다. “일정한 공간의 중심을 벗어난 변두리나 한쪽 모퉁이”를 가리킨다. 문학 작품에서는 “장군님께서 바위에 걸터앉으시자 회의 참석자들도 하나둘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최진동과 한영권을 비롯한 유격대 지휘관들은 지하 혁명조직 책임자들을 될수록 장군님 가까이에 앉히려고 마음을 쓰면서 자신들은 가녁에 자리를 잡았다.”(<근거지의 봄>,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214쪽)와 같은 예가 보인다.

북녘에서는 ‘쏘다’라는 말을 우리와는 좀 다른 의미로도 쓴다. “무엇이 쑤시고 찌르는 것처럼 아프다”로 쓰는 경우가 그것이다. 문학 작품에서 용례를 찾는다면 “어머님께서는 오늘 사하촌에 가셨다가 흐지부지되여 가는 부녀회원들의 야학을 바로세울 대책을 의논하실래기 반나절을 보내시고 돌아오시다가 다리가 너무 쏘아서 길가의 버드나무 그늘에 앉으시였다. 누렇게 익어가는 강냉이 밭이 바람도 없는데 우수수 설레였다.”(<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291쪽)와 같은 것이 있다.

‘의논하실래기’는 ‘의논하시려고’의 뜻이고, ‘설레다’의 경우는 우리는 ‘설레다’만 표준어로 인정하지만 북녘은 ‘설레다’와 ‘설레이다’를 다 문화어로 인정하고 있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3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8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798
3128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462
3127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464
3126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465
3125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467
3124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467
3123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471
3122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475
3121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476
3120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476
3119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478
3118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479
3117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483
3116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484
3115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488
3114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490
3113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491
3112 단골 風文 2023.05.22 1493
3111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494
3110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494
3109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495
3108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495
3107 너무 風文 2023.04.24 15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