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12 11:12

‘가녁’과 ‘쏘다’

조회 수 13825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녁’과 ‘쏘다’

우리가 좀처럼 들어 보기 어려운 말 가운데에는 ‘가녁’이라는 북녘의 말이 있다. “일정한 공간의 중심을 벗어난 변두리나 한쪽 모퉁이”를 가리킨다. 문학 작품에서는 “장군님께서 바위에 걸터앉으시자 회의 참석자들도 하나둘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최진동과 한영권을 비롯한 유격대 지휘관들은 지하 혁명조직 책임자들을 될수록 장군님 가까이에 앉히려고 마음을 쓰면서 자신들은 가녁에 자리를 잡았다.”(<근거지의 봄>,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214쪽)와 같은 예가 보인다.

북녘에서는 ‘쏘다’라는 말을 우리와는 좀 다른 의미로도 쓴다. “무엇이 쑤시고 찌르는 것처럼 아프다”로 쓰는 경우가 그것이다. 문학 작품에서 용례를 찾는다면 “어머님께서는 오늘 사하촌에 가셨다가 흐지부지되여 가는 부녀회원들의 야학을 바로세울 대책을 의논하실래기 반나절을 보내시고 돌아오시다가 다리가 너무 쏘아서 길가의 버드나무 그늘에 앉으시였다. 누렇게 익어가는 강냉이 밭이 바람도 없는데 우수수 설레였다.”(<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291쪽)와 같은 것이 있다.

‘의논하실래기’는 ‘의논하시려고’의 뜻이고, ‘설레다’의 경우는 우리는 ‘설레다’만 표준어로 인정하지만 북녘은 ‘설레다’와 ‘설레이다’를 다 문화어로 인정하고 있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99
3106 삼박하다 風磬 2006.12.26 13780
3105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756
3104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740
3103 노가리 바람의종 2010.04.10 13737
3102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737
3101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737
3100 인구에 회자되다 바람의종 2008.01.27 13736
3099 앳띠다 바람의종 2010.08.07 13720
3098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718
3097 여염집 바람의종 2007.05.17 13717
3096 모기버섯, 봉양버섯 바람의종 2009.11.19 13715
3095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667
3094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660
3093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640
3092 해장 바람의종 2012.07.23 13636
3091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618
3090 기구하다 바람의종 2007.05.06 13616
3089 X-mas 바람의종 2011.12.26 13612
3088 '~어하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4.18 13611
3087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603
3086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582
3085 절절이 / 절절히 바람의종 2010.02.22 135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