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35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어떤 어려운 일을 성취한 경우 우리는 이를 널리 알리고 싶어 한다. 이때 북녘에서 쓰는 말 가운데 ‘통장을 부르다’라는 생소한 말이 있다. 북녘의 사전에서는 이 말을 “그 누구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성과를 이룩하고 그것을 보란 듯이 큰소리로 공포하는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놀라운 일이로다. 마지막 싸움이 될 이번 울돌목 해전은 벌써 통장을 부른 셈이나 다름없도다. 백성들이 이처럼 돕고 있으니 싸움하기 전에 이미 승패는 정해졌노라.”(<리순신 장군>, 김현구, 문예출판사, 1990년, 506쪽)와 같은 예가 있다.

‘시끄럽다’는 말은 북녘에서 “성가시도록 말썽이나 가탈이 많다”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소리 개념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예를 들면 “가만 내버려두면 아낙네는 종일이라도 이야기를 계속할 수 있을 것 같았다. 해 가늠을 해 보니 10리나마 되는 명주촌에 들렸다가 돌재로 돌아가자면 날이 저물어 두만강 나루를 건너기 시끄러울 것 같았다. 오석하는 적당한 기회에 아낙네와 작별하고 걸음을 다우쳐 단숨에 명주촌에 들이댔다.”(<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287쪽)와 같이 쓰인다. 이때 ‘들렸다가’와 ‘다우쳐’는 남녘 표현으로는 ‘들렀다가’와 ‘다그쳐’가 된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2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31
2908 하룻강아지 바람의종 2010.03.22 12298
2907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96
2906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2296
2905 의사와 열사 바람의종 2012.03.02 12295
2904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92
2903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287
2902 혈혈단신 바람의종 2010.07.17 12280
2901 마린보이 바람의종 2012.08.13 12280
2900 걸판지게 놀다 바람의종 2012.05.09 12276
2899 저지 바람의종 2010.04.18 12267
2898 북녘말 바람의종 2012.10.04 12266
2897 내부치다, 내붙이다 바람의종 2010.11.05 12263
2896 자기 개발 / 자기 계발 바람의종 2011.11.24 12261
2895 ~다 라고 말했다 바람의종 2010.03.15 12255
2894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49
2893 궂기다 바람의종 2010.03.16 12234
2892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234
2891 표식/표지, 성력/생력 바람의종 2010.09.03 12232
2890 어리숙하다, 어수룩하다 바람의종 2010.10.16 12232
2889 쿠사리 바람의종 2010.04.26 12219
2888 녹녹지 않다 바람의종 2010.03.30 12209
2887 지양과 지향 바람의종 2010.08.07 121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