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23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곧은밸’과 ‘면비교육’

북녘의 ‘곧은밸’은 “너무 단순하고 고지식한 사람을 비겨 이르는 말”이다. 물론 이외에도 생리적으로는 창자의 한 가지인 ‘직장’을 가리키기도 하고, 또 음식을 먹고 바로 위생실(우리의 화장실)로 가는 사람을 농으로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널리 쓰이는 것으로서 첫째 뜻으로 사용된 예를 보면 “가만히 지내보면 성님네 저 애가 갈범이라면 우리 저놈은 너구리라니까. 창억이가 곧은밸이라면 우리 저 녀석은 남보다 내장이 열 발은 더 길구 슬슬 사려졌을 게요. 속에 무슨 생각을 품고 다니는지….”(<근거지의 봄>,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43쪽)와 같은 것이 있다.

‘면비교육’은 “교육사업의 비용을 부형들에게 부담시키지 않고 전적으로 국가가 부담하는 교육”이다. 말하자면 ‘무상교육’의 뜻이다. 문예작품에는 “여기도 지난날에는 오가자만 못지않게, 아니 오가자보다 훨씬 더 복잡한 형세였다. 그런 것을 김성주 동무가 와서 불과 한 해 사이에 이처럼 혁명화된 농촌을 꾸려 놓고 면비교육까지 실시하고 있다. 이것을 옆에서 보고 체험도 적지 않게 한 우리들은 왜 이 모양인가.”(<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7년, 127쪽)와 같은 예가 나온다. 이때 ‘면비-’는 중국어식 표현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6395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295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7976
    read more
  4. ‘강한 바람’만인가?

    Date2007.10.27 By바람의종 Views6982
    Read More
  5. ‘개덥다’고?

    Date2023.11.24 By風文 Views1320
    Read More
  6.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Date2024.01.09 By風文 Views1331
    Read More
  7.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Date2022.09.24 By風文 Views1222
    Read More
  8.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Date2023.10.13 By風文 Views1364
    Read More
  9. ‘경우’ 덜쓰기/최인호

    Date2007.04.25 By바람의종 Views6900
    Read More
  10. ‘고마미지’와 ‘강진’

    Date2008.04.08 By바람의종 Views8043
    Read More
  11. ‘곧은밸’과 ‘면비교육’

    Date2010.04.26 By바람의종 Views10230
    Read More
  12. ‘괴담’ 되돌려주기

    Date2023.11.01 By風文 Views1401
    Read More
  13. ‘그러지 좀 마라’

    Date2010.02.07 By바람의종 Views7741
    Read More
  14. ‘기쁘다’와 ‘즐겁다’

    Date2007.09.29 By바람의종 Views12156
    Read More
  15. ‘긴장’과 ‘비난수’

    Date2010.03.30 By바람의종 Views17869
    Read More
  16. ‘김치’와 ‘지’

    Date2007.09.22 By바람의종 Views6849
    Read More
  17. ‘꾹돈’과 ‘모대기다’

    Date2010.05.09 By바람의종 Views13446
    Read More
  18. ‘끄물끄물’ ‘꾸물꾸물’

    Date2024.02.21 By風文 Views1232
    Read More
  19.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Date2022.07.07 By風文 Views1239
    Read More
  20. ‘내 부인’이 돼 달라고?

    Date2023.11.01 By風文 Views988
    Read More
  21. ‘넓다´와 ‘밟다´의 발음

    Date2010.08.15 By바람의종 Views22643
    Read More
  22.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Date2023.02.27 By風文 Views1131
    Read More
  23. ‘달 건너 소식’과 ‘마세’

    Date2010.05.31 By바람의종 Views10729
    Read More
  24. ‘당신의 무관심이 …’

    Date2008.04.02 By바람의종 Views6488
    Read More
  25. ‘대틀’과 ‘손세’

    Date2010.05.28 By바람의종 Views1366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