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24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곧은밸’과 ‘면비교육’

북녘의 ‘곧은밸’은 “너무 단순하고 고지식한 사람을 비겨 이르는 말”이다. 물론 이외에도 생리적으로는 창자의 한 가지인 ‘직장’을 가리키기도 하고, 또 음식을 먹고 바로 위생실(우리의 화장실)로 가는 사람을 농으로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널리 쓰이는 것으로서 첫째 뜻으로 사용된 예를 보면 “가만히 지내보면 성님네 저 애가 갈범이라면 우리 저놈은 너구리라니까. 창억이가 곧은밸이라면 우리 저 녀석은 남보다 내장이 열 발은 더 길구 슬슬 사려졌을 게요. 속에 무슨 생각을 품고 다니는지….”(<근거지의 봄>,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43쪽)와 같은 것이 있다.

‘면비교육’은 “교육사업의 비용을 부형들에게 부담시키지 않고 전적으로 국가가 부담하는 교육”이다. 말하자면 ‘무상교육’의 뜻이다. 문예작품에는 “여기도 지난날에는 오가자만 못지않게, 아니 오가자보다 훨씬 더 복잡한 형세였다. 그런 것을 김성주 동무가 와서 불과 한 해 사이에 이처럼 혁명화된 농촌을 꾸려 놓고 면비교육까지 실시하고 있다. 이것을 옆에서 보고 체험도 적지 않게 한 우리들은 왜 이 모양인가.”(<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7년, 127쪽)와 같은 예가 나온다. 이때 ‘면비-’는 중국어식 표현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6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637
3282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000
3281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341
3280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398
3279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240
3278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420
3277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915
3276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064
»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240
3274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438
3273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43
3272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183
3271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870
3270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864
3269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460
3268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278
3267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268
3266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007
3265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651
3264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160
3263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바람의종 2010.05.31 10729
3262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488
3261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6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