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07 00:50

피랍되다

조회 수 9463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랍되다

우리는 매우 많은 한자말을 쓴다. 그러나 한자말이라고 해서 반드시 한자로 적을 필요는 없다. 한글전용을 주장하는 이들이야 말할 것도 없지만, 한자병용을 주장하는 이들일지라도 ‘학교, 비행기, 세탁소, 미장원, 극장’ 같은 낱말까지 꼭 한자로 적어야 한다고 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자말 중에는 한문 어순으로 된 말이 있다. ‘살인’(殺人) 같은 말이다. ‘살’이 동사이고 ‘인’이 목적어다. 우리말과는 어순이 다르다.

“북한 선원들이 탄 선박이 피랍된 사실을 확인했다.” 북한 선원들이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된 사건을 다룬 신문기사의 한 구절이다. 기사에 쓰인 ‘피랍’(被拉)도 한문 어순으로 된 낱말이다. ‘납치되다’라는 뜻의 피동어로서 역시 우리말과는 어순이 다르다. ‘피랍’ 자체가 피동어인데, 거기에 ‘되다’라는 피동접미사를 붙이면 이중피동이 된다. 이중피동을 써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려는 것이 아니다. “방사선에 피폭되다”와 같은 말은 이중피동을 벗어나기가 쉽지 않다. 이럴 땐 이중피동을 쓰는 것이 편하다. 이중피동을 피한답시고 ‘피랍된’을 ‘피랍한’으로 하면 우리의 일상 언어생활과 동떨어진다. 그러나 ‘피랍된’도 아니고 ‘피랍한’도 아닌 ‘납치된’이라는 좋은 말이 있다. ‘납치된’이라고 하면 눈에도, 귀에도 훨씬 빨리 들어온다. 다만 제목에 쓸 때는 접미사를 빼버리고 ‘피랍’으로 써야 하는데, 이때 ‘납치’를 쓰면 주객이 바뀌어 버린다. 그러나 이때도 한 글자만 더 붙여 ‘납치돼’로 하면 해결된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795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388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4018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048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027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837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232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057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799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290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264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64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555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342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852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306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672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973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499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111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875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5180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5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