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07 17:28

팔색조

조회 수 805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팔색조

“아열대와 열대 숲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푸른날개팔색조’가 5월30일 마라도 해송 숲에서 국내 처음으로 발견됐다.”(<한겨레> 2009년 6월9일)

한국조류보호협회 제주도 지회가 해마다 하는 철새 정기조사에서 팔색조가 마라도에 살고 있음을 알린 기사다. 팔색조는 겁이 많고 고독을 좋아하는 새다. 홀로 땅 위를 깡충깡충 뛰는 듯이 다니며 땅속의 지렁이 같은 먹이를 잡아먹고 둥우리로 먹이를 가져와서 새끼를 기른다. 부리와 발로는 땅속의 지렁이와 딱정벌레 등을 찾아낸다. 시냇가에서 더러 골짜기로 드리워진 나뭇가지에 앉아 쉬기를 즐긴다. 그러면서도 적을 피해 언제나 소리 없이 움직인다. 몸짓은 놀라우리만치 빠르다. 위험을 느꼈을 때는 숲을 멀리 벗어나 숲 위를 날아돌 때도 있고, 때로는 사람에게 아주 가까이 다가오기도 한다.



울음소리는 닭 울음처럼 멀리까지 잘 들린다. 날씨와 바람에 따라서는 10리 밖까지도 간다. 짝짓기 철이 되면 ‘호객·호객’ 하고 암수가 자주 울며 한 마리가 울면 이와 함께 다른 녀석의 메아리로 울려 퍼진다. 여덟 가지 색을 갖추었다고 그리 불렀을 터. 병아리 적에는 좀처럼 울음소리를 내지 않으며 이때 간혹 내는 울음소리는 암수 구별이 쉽다. 암컷의 울음소리는 수컷의 소리보다 흐려지고 깨진 소리가 섞여 들린다. 자연도태론의 새 연구가인 월리스는 알록달록하여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새라고 했다. 우리보고 아름답게 살아가라고 찾아온 것인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9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4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95
3194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565
3193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67
3192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567
3191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569
3190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571
3189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573
3188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575
3187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579
3186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582
3185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583
3184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584
3183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588
3182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594
3181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594
3180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596
317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96
3178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97
3177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599
3176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600
3175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603
3174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610
3173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6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