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4 01:54

저어새

조회 수 828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저어새

“늪은 보랏빛 가시연의 향으로 가득하네./ 왜가리와 백로 무리 온 세상 시름을 다 잊어/ 노란 댕기로 날아오르는 저어새의 저 품새로/ 노을에 물든 물살을 가르는 나룻배의 명상”

우포늪의 저녁노을 지는 한때를 사랑하는 사람들. 우포늪에서 세계 사람들이 모인 가운데 람사르 총회가 열려 자연 사랑을 새롭게 일깨웠다. 저어새는 전세계를 통틀어 1000여 마리뿐이다. 정말 드문 새인데, 여름이면 우포늪으로 찾아온다. 텃새가 아닌 여름새다. 부리와 눈과 다리를 빼면 온몸이 흰색이다. 천연기념물 205호로 몸 크기는 왜가리와 아주 비슷하다.

얼핏 보아 저어새의 두드러진 점은 부리의 생김새다. 영어로는 스푼빌(spoonbill)이다. 미루어 보건대, 스푼빌의 ‘스푼-숟가락’에서 비롯한 이름이 아닐까 한다. 젓가락 사용이 한국인의 머리를 발달시키는 하나의 고리가 되었다는 지적도 있다. 밥을 떠먹는 숟가락과 저어새의 부리 모양이 닮았다. 밥이 하늘이라는데, 요즘 우리는 먹고 살아야 할 음식의 소중함을 잊고 사는 것은 아닌지, 저어새의 부리를 떠올리며 되돌아보게 된다. 마치 선조들이 쓰던 박물관의 큰 숟가락 같지 않은가. 새는 예의 부리로 물속을 저어(攪) 헤엄치며 먹잇감을 찾는다. 부리가 커서 일단 가까이 있는 먹을거리를 놓치지 않는다. 입이 가장 중요한 삶의 그릇이니까.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93
2798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657
2797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880
2796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41
2795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478
2794 전송과 배웅 바람의종 2010.12.19 13255
2793 전세값, 삭월세 바람의종 2008.11.11 6305
2792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652
2791 전농동과 설렁탕 바람의종 2008.03.15 8847
2790 전년도, 회계연도 바람의종 2012.10.08 12399
2789 전광석화 바람의종 2007.12.18 6480
2788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247
2787 적이 바람의종 2007.03.23 7362
2786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337
2785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61
2784 저지 바람의종 2010.04.18 12234
»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287
2782 저린다 바람의종 2010.10.30 8798
2781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276
2780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바람의종 2009.03.24 22258
2779 저 같은 경우는? 바람의종 2008.03.19 6185
2778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7001
2777 쟈고미 바람의종 2009.08.27 69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