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7 07:26

청설모

조회 수 875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청설모

짐승이름

“양떼구름 무리지어 놀고 있네/ 그리움 한 뼘씩 물어뜯으며/ 비대해진 바람이 지나가면서 잎새들의/ 어깨를 툭툭 치며 가네// 청설모 서너 마리 그네 타는 숲을 건너/ 집요하게 알곡을 챙기고, 우물가/ 개복숭아 욕심껏 햇살 퍼 담네/ 떫은 속 노을로 채우고 있네”(류제희의 ‘가을, 율사리’ 중에서)

오솔길을 걷노라면 솔방울 까먹고 버리는 껍질들이 수럭수럭 나뭇잎이 되어 떨어져 내리는 듯하다. 가까이 가도 그리 무서워하는 눈치도 아니다. 나무를 오르내리는 데 전혀 어려움이 없다. 청서(靑鼠)는 다람쥐의 일종이다. 청서에 리을이 덧붙고, 털이 있는 특징을 잡아 모(毛)를 더해 청설모라 이른 것이다. 청설모는 꼬리에 털이 많고 길며, 귀에도 긴 털이 나 있다. 긴 꼬리의 털 덕에 나무에서 떨어져도 다치지 않으며 헬리콥터의 꼬리날개처럼 방향을 마음대로 바꾸기도 한다는데, 등은 붉은빛이 도는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종이 있으며, 배는 흰색이다.

청서는 나무 타기 선수다. 몸도 나무 위에서 살기에 알맞게 돼 있다. 발톱이 워낙 날카로워 미끄러운 나무줄기도 잘 기어오른다. 가느다란 가지 위에서도 균형을 잘 잡는다. 먹이는 나무열매·곤충·새순·새알 등이며, 나무 위에 집을 짓고 4~10월에 한배에 3~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청설모가 있는 곳에서는 동요 속에 나오는 다람쥐들은 살 수가 없다. 황소개구리에게 밀린 개구리 신세가 된 것인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6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39
3062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235
3061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35
3060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23
3059 거시기 바람의종 2011.11.14 10441
3058 거절과 거부 바람의종 2010.11.16 9059
3057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737
3056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55
3055 거짓말 바람의종 2009.09.06 8264
3054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1183
3053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414
3052 거치다와 걸치다 바람의종 2010.03.23 15197
3051 거치장스럽다 바람의종 2012.05.16 8091
3050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58
3049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風文 2020.07.18 2186
3048 건넛방, 건넌방 바람의종 2011.12.22 10778
3047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302
3046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674
3045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87
3044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223
3043 걸리적거리다 바람의종 2010.08.15 9718
3042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592
3041 걸맞은, 알맞은 바람의종 2008.04.07 90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