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7 07:26

청설모

조회 수 872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청설모

짐승이름

“양떼구름 무리지어 놀고 있네/ 그리움 한 뼘씩 물어뜯으며/ 비대해진 바람이 지나가면서 잎새들의/ 어깨를 툭툭 치며 가네// 청설모 서너 마리 그네 타는 숲을 건너/ 집요하게 알곡을 챙기고, 우물가/ 개복숭아 욕심껏 햇살 퍼 담네/ 떫은 속 노을로 채우고 있네”(류제희의 ‘가을, 율사리’ 중에서)

오솔길을 걷노라면 솔방울 까먹고 버리는 껍질들이 수럭수럭 나뭇잎이 되어 떨어져 내리는 듯하다. 가까이 가도 그리 무서워하는 눈치도 아니다. 나무를 오르내리는 데 전혀 어려움이 없다. 청서(靑鼠)는 다람쥐의 일종이다. 청서에 리을이 덧붙고, 털이 있는 특징을 잡아 모(毛)를 더해 청설모라 이른 것이다. 청설모는 꼬리에 털이 많고 길며, 귀에도 긴 털이 나 있다. 긴 꼬리의 털 덕에 나무에서 떨어져도 다치지 않으며 헬리콥터의 꼬리날개처럼 방향을 마음대로 바꾸기도 한다는데, 등은 붉은빛이 도는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종이 있으며, 배는 흰색이다.

청서는 나무 타기 선수다. 몸도 나무 위에서 살기에 알맞게 돼 있다. 발톱이 워낙 날카로워 미끄러운 나무줄기도 잘 기어오른다. 가느다란 가지 위에서도 균형을 잘 잡는다. 먹이는 나무열매·곤충·새순·새알 등이며, 나무 위에 집을 짓고 4~10월에 한배에 3~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청설모가 있는 곳에서는 동요 속에 나오는 다람쥐들은 살 수가 없다. 황소개구리에게 밀린 개구리 신세가 된 것인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2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6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73
3062 두문불출 바람의종 2007.11.01 8841
3061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270
3060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421
3059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08
3058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6971
3057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11
3056 대증요법 바람의종 2007.11.03 6080
3055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402
3054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810
3053 밀랍인형 바람의종 2007.11.04 10802
3052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8896
3051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072
3050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181
3049 봉두난발 바람의종 2007.11.05 10570
3048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559
3047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890
3046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105
3045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878
3044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333
3043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485
3042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7998
3041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4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