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1 02:59

귀성

조회 수 1064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귀성

외래어

많은 이들이 한꺼번에 움직이니까 명절에 고향을 찾아가는 길은 으레 막히고 밀리기 마련이었는데, 눈이 많이 온 지난 설에는 특히나 고생스러웠다. 서울에서 그리 멀지 않은 서해대교를 건너는 데 15시간이 넘게 걸렸을 정도니 말이다. 이웃 중국도 우리나라 못지 않게 난리를 치렀다니 동병상련인지 친밀감마저 든다.

명절에 고향을 찾아가는 일을 ‘귀성’(歸省)이라 하는데, 왜 ‘귀향’(歸鄕)이라고 하지 않을까?

‘귀성’은 현대 일본어에서도 흔히 쓰이는 말이어서 그쪽 한자어가 들어온 게 아닐까 싶지만, 그렇지는 않은 듯하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옛 문헌에서는 고려 사람 이색(1328~1396)의 시에 이미 등장하기 때문이다. 중국 쪽 기록을 보면 당나라 때 인물인 주경여(797~?)의 시에서부터 쓰인 기록이 나온다. 그런데 중국어 사전에서 ‘귀성’은 ‘고향에 돌아가 부모님을 살핀다’(回鄕省親, 回家探親)는 뜻이므로, 성(省)은 ‘마을’이나 ‘고향’이 아니라 ‘(부모님과 조상의 묘를) 살핀다’는 뜻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명절이라고 단지 고향에 가는 것으로 그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예부터 타향에 나가 사는 사람은 정기적으로 고향에 가서 부모님과 조상의 묘를 돌보았다. 조선 때 관료들도 기일과 명절에는 공식 휴가를 얻어서 귀성하였다고 한다. 이런 전통을 받들어 우리 민족의 귀성 행렬은 꿋꿋하게 이어졌던 것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2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30
2820 악발이 바람의종 2009.05.25 6034
2819 렉카 바람의종 2009.05.25 7118
2818 종달새 바람의종 2009.05.26 10064
2817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938
2816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45
2815 왕구울개 바람의종 2009.05.28 7199
2814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525
2813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35
2812 아나운서 바람의종 2009.05.30 6350
2811 하더란대두 바람의종 2009.05.30 7386
2810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66
2809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29
2808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80
2807 나이 바람의종 2009.06.01 6022
2806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973
2805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9012
2804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279
2803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904
2802 믿그리 바람의종 2009.06.11 6353
» 귀성 바람의종 2009.06.11 10640
2800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708
2799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5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