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09 19:50

가입시더

조회 수 667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입시더

고장말

‘-입시더/-읍시더’는 경상도 말로, 아주높임·예사높임에 두루 쓰인다. 표준어 ‘-읍시다’와 ‘-오/-소’(가오·먹소)에 대응한다. “할매요, 밥 안 묵었으믄 함께 묵읍시더.”(<부르는 소리> 김향숙) “지발 당분간은 서로 못 본 듯 사입시더.”(<영웅시대> 이문열) ‘-입시더/-읍시더’는 행동을 같이할 것을 청할 때 쓰는데, ‘-입·-읍’이 탈락한 ‘-시더’가 경북 북부에서 쓰이기도 한다. “아이, 그 여 얼매 안 되니더. 여 바로 뒤에 있니더. 그럼 그리 가시더.”(<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입시더/-읍시더’에 대응하는 다른 말은 ‘-읍세다’(습세다)와 ‘-읍주’다. ‘-읍주’는 제주에서 쓰인다. “무사마씀, 나도 가삽주.” “어수다(아닙니다). 나, 나 디(같이) 갑주 뭐, 무사 난 아니 갈 말이꽈?”(<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읍세다’는 황해·강원을 뺀 북녘에서 두루 쓰이며, 재중동포들이 많은 만주 쪽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제꺽 찍으시우, 그리구 새 집에 갑세다.”(<이사가는 날> 최학수·재북)

‘-읍세다’와 ‘-읍주’는 아주높임 자리에, ‘-읍세’는 예사높임 자리에 쓰인다. “날래 들어가서 아침이나 먹읍세.”(<고려백정의 사위> 김용식·재중) ‘-읍세’에 대응하는 전라말이 ‘-드라고/-더라고’다. “이, 돌른(훔친) 물건 아닝께 싸게 묵드라고.”(<태백산맥> 조정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2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111
29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834
289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79
28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629
287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691
286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401
285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551
284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970
»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73
282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99
281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362
280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804
279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921
278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229
277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740
276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404
275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232
27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634
273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654
27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084
271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82
270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393
269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