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0 00:21

기러기

조회 수 674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러기

짐승이름

온조 43년(서기 25년께) 9월에 기러기 백여 마리가 왕궁으로 날아들었다. 점 치는 일관이 이르기를, “기러기는 백성을 뜻함이니 앞으로 먼 곳의 사람들이 전하께 귀의할 것입니다.” 같은해 10월이 되자 남옥저로부터 20여 집이 백제로 와서 살겠다고 청원을 하므로 받아들여 살게 하였다.(삼국사기)

기러기는 하늘의 심부름꾼이었다. 하느님의 불을 별들한테 전하는 제사장 구실도 하였다. 민속에서는, 혼례장에서 예식을 치르기 전에 신랑이 기러기를 신부 집으로 가져간다. 신부의 어른들에게 절을 하는 전안(奠雁)이라는 의례가 있다. 기러기는 또한 암수가 금슬이 좋기로 정평이 나 있다.

홀아비나 홀어미를 일러 ‘짝 잃은 기러기’라고도 한다. 조선 말엽 <규합총서>에는, 기러기를 신의·예절·절개를 상징한다고 적었다. 밤엔 무리 지어 잠을 자되 한 마리는 자지 않고 망을 보며, 낮이면 갈대를 머금어 주살을 피하는 슬기로움을 갖추고 있어 결혼 자리에 기러기를 쓴다고 했다.

기러기는 ‘긔려기’(훈몽자회)였다. 기럭기럭 하며 운다고 붙인 이름이다. ‘긔럭’에 사물이나 사실을 드러내는 접미사 ‘-이’가 붙어 굳어진 것. 풀이 따라 갈매기의 ‘-기’와 같이 ‘기’를 새를 뜻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일본어의 ‘가리’(雁), 몽골어의 ‘갈라군’, 터키어의 ‘가즈’와 유연성이 깊어 보인다. 기러기 반가운 소식에 목 빠지는 이들이여.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5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1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005
2908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50
2907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42
2906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899
2905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084
2904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18
2903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863
2902 두더지 바람의종 2008.12.15 6410
2901 별명 바람의종 2008.12.17 6529
2900 보로미 바람의종 2008.12.18 7154
2899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170
2898 사자 바람의종 2008.12.26 5829
2897 법대로 바람의종 2008.12.26 5478
2896 니서껀 내서껀 바람의종 2008.12.27 6950
2895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74
2894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714
2893 오리 바람의종 2009.02.03 6609
2892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30
2891 날마닥, 날마당 바람의종 2009.02.05 6526
2890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012
2889 그룹사운드 바람의종 2009.02.08 6891
» 기러기 바람의종 2009.02.10 6744
2887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