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1 03:11

가마귀

조회 수 9105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마귀

사람이름

세조 4년(1458년), 조영무 장군의 손자 조완규는 계유정난 때 간적으로 몰렸다. 부인 ‘조이’, 딸 ‘가이’, 누이 ‘정정’, 첩의 딸 ‘옥금이’뿐만 아니라 조카인 ‘가마귀’(加麻耳) 또한 노비로 갔다. 10년 지나 가마귀와 정정은 풀려났다. 까마귀는 중세말로 ‘가마괴’인데 이름에 ‘가마귀’로 쓰이고 있다. 땅이름에 ‘가마괴목’(加<9EBF>塊項)이 있음을 볼 때 ‘가마괴·가마귀’가 함께 쓰였던 것 같다. ‘가마귀’는 오랑캐 사람이름에도 보인다.

‘귀’로 끝나는 이름에 ‘개귀·금귀·단귀·돗귀·멍귀·쇠귀·죵귀·칠귀’ 따위가 있다. ‘개귀·돗귀·쇠귀’는 ‘개·돼지·소’의 귀와 닮은 모양이다. 나귀·방귀·자귀라는 이름도 있다. 날 방향이 자루 방향과 나란하면 ‘도끼’, 수직하면 ‘자귀’다. 자귀보다 큰 것이 ‘까뀌’다. ‘귀’로 시작되는 이름에 ‘귀개·귀금이·귀덕이·귀동이·귀딘이·귀망이·귀먹덩이·귀복이·귀톨이’가 있다. ‘멍귀·귀망이’는 같은 뜻의 말로 생각된다. 고장말 ‘귀먹댕이’(귀머거리)는 ‘귀먹덩이’의 내림인 모양이다.

귀는 ‘바깥귀·가운뎃귀·속귀’로 나뉘며 귓바퀴의 아래쪽에 붙어 있는 살을 ‘귓불/귓밥’이라고 한다. 남의 말을 잘 들으려면 먼저 귀를 비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대를 존중한다면 마음으로도 소통은 가능할 것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41
3172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863
3171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813
3170 파이팅, 오바이트, 플레이, 커닝 바람의종 2008.09.23 8773
3169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862
3168 파열음 바람의종 2010.01.15 10204
3167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2973
3166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103
3165 파랗다와 푸르다 윤영환 2008.09.03 8537
3164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134
3163 파랑새 바람의종 2009.06.16 7429
3162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018
3161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725
3160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1113
3159 트레킹, 트래킹 바람의종 2009.03.27 8758
3158 트랜스 바람의종 2010.01.11 11134
3157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1806
3156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바람의종 2008.03.04 12603
3155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196
3154 퉁구스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6 10748
3153 투성이 바람의종 2010.08.27 9386
3152 퇴화되는 표현들 / 존댓말과 갑질 風文 2020.07.07 2189
3151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3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