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5 06:16

돌쇠

조회 수 595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쇠

사람이름

명종 3년(1548년), 평양 사는 이인필의 집 암소가 송아지를 낳았는데 뒷다리 밑은 흰색, 앞다리 위 등뼈 사이로 발 하나가 거꾸로 나왔다. 상원군 사는 ‘돌쇠’(突衰)네 집에서는 검은 암소가 낳은 송아지가 머리 하나에 눈이 둘, 귀가 셋, 허리 위로는 소 모양이고, 허리 밑은 소 두 마리의 모양으로 발이 여덟, 꼬리 둘에, 털이 없는 벌거숭이였다.

돌쇠는 石乙金(석을금)/乭金으로 사뭇 적는데, 위 기록에서는 특이하게 소리 나는 대로도 적었다. ‘돌’이 든 이름은 참으로 많다. 돌개바람·돌개구멍의 ‘돌개/돌가’, 돌기둥이란 뜻의 ‘돌기디’가 있고 ‘돌덩이·돌덕이’도 보인다. 이름에 쓰인 ‘돌망이·돌명이·돌뭉이·돌믜’는 돌멩이의 아재비쯤 된다. ‘돌작’은 돌멩이의 고장말이고, ‘돌무적’은 돌무더기다. ‘돌타내’라는 이름의 ‘타내’도 널리 쓰였다. 황해도 말에서 ‘타내’는 ‘귀걸이’다. 몽골말 ‘타나’는 ‘자개·진주모’다. 고려 때 원나라 사신에 ‘타나’(塔納=탑납)가 있으며, ‘타나·타내’는 서로 관련된 이름인 듯하다. ‘돌도리·돌두리·돌모치·돌모티·돌무태’는 무슨 말일까? 경상도말로 모퉁이가 ‘모티’이므로 ‘돌모티’는 ‘돌 모퉁이’인 듯도 하다.

‘의리의 사나이 돌쇠’라는 영화를 비롯해 돌쇠는 우직하고 의리 있는 사내의 보통명사로 쓰이곤 한다. 눈앞 잇속을 챙기느라 의리마저 저버리기 일쑤인 사회에서 ‘돌쇠 정신’이 아쉽다 할까?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1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7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759
2952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393
2951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44
2950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297
2949 내레 바람의종 2008.10.07 6223
2948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051
2947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03
2946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55
2945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55
2944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27
2943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16
2942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08.10.20 7069
2941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089
2940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29
2939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30
» 돌쇠 바람의종 2008.10.25 5955
2937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50
2936 노루 바람의종 2008.10.27 5170
2935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892
2934 나어 집! 바람의종 2008.10.29 6177
2933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641
2932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897
2931 바람의종 2008.11.01 72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