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2 18:34

토끼

조회 수 801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토끼

짐승이름

“흰 이슬 비꼈는데 밝은 달 돋아온다/ 봉황루 묘연하니 청광은 뉘를 줄꼬/ 옥토(玉兎)의 찧는 약을 호객(豪客)에게 먹이고자.”

고산 윤선도의 시조에 나오는 토끼. 옥토끼는 달에 살면서 떡방아를 찧거나 불사약을 만든다고 믿고 있다. 이처럼 토끼는 장생불사의 상징 동물로 여겨졌다. 그 민첩함으로 심부름꾼으로 나서는 일이 더러 있다. 경북 문경에 토천(兎遷)이란 곳이 있는데, 고려 태조 왕건이 길을 잃고 헤맬 때 토끼가 나타나 절벽 길을 안내하였다고 한다. 문경에 ‘왕건’ 드라마 촬영장이 마련된 것도 우연은 아니겠다. “거부긔 터리와 톳기의 쁠와”(龜毛兎角, 두시언해)에서는 토끼를 ‘톳기’라 적었다. ‘톳’에 접미사 ‘-기’가 붙어 된 말로 볼 수 있다.

중국어에서는 토끼를 토자(兎子)라 한다. 여기 -자(子)는 작다는 뜻을 중심으로 하는 지소사로 보인다. -자(子)가 흔히 우리말로 토착하는 과정에서 ‘-지’로 바뀌어 쓰인다. 이르자면 가지(茄子), 종지(鍾子), 장지(障子)의 ‘-지’와 같다. 이 ‘-지’가 다시 소리 유창성을 꾀하려는 부정회귀를 통하여 ‘-기’로 바뀐 것으로 본다.

몽골말로는 ‘톨아이’(tulai)인데 말의 뿌리는 ‘톨-’이 된다. 받침소리에서 유연성을 보면 ‘톨-톧-톳’으로 유추할 수 있다. 한자어 어원으로 보는 견해보다는 알타이말 계통으로 보아 몽골말과 궤를 함께하는 우리말일 개연성이 더 높겠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8594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503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0002
    read more
  4. 통합키로, 참석키로

    Date2010.05.08 By바람의종 Views12554
    Read More
  5. 통틀어

    Date2007.03.30 By바람의종 Views7289
    Read More
  6. 통째/통채

    Date2008.09.03 By바람의종 Views11667
    Read More
  7. 통장을 부르다

    Date2008.04.17 By바람의종 Views11498
    Read More
  8. 통음

    Date2012.12.21 By바람의종 Views21253
    Read More
  9. 통속어 활용법

    Date2022.01.28 By風文 Views1274
    Read More
  10. 톨마

    Date2009.09.21 By바람의종 Views7526
    Read More
  11.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Date2007.12.16 By바람의종 Views6915
    Read More
  12. 토씨의 사용

    Date2009.05.31 By바람의종 Views6098
    Read More
  13. 토씨 하나 잘못 쓰면

    Date2010.05.06 By바람의종 Views8379
    Read More
  14. 토를 달다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13760
    Read More
  15. 토끼

    Date2008.10.22 By바람의종 Views8014
    Read More
  16.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Date2007.11.08 By바람의종 Views6490
    Read More
  17. 터울

    Date2008.11.11 By바람의종 Views7063
    Read More
  18. 터물·더믈

    Date2008.04.28 By바람의종 Views7892
    Read More
  19. 터무니없다

    Date2010.04.13 By바람의종 Views10506
    Read More
  20. 터무니가 없다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11433
    Read More
  21. 택도 없다.

    Date2010.08.15 By바람의종 Views14596
    Read More
  22. 태풍의 눈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10535
    Read More
  23. 태어나다

    Date2012.02.28 By바람의종 Views9526
    Read More
  24. 태백산과 아사달

    Date2008.01.21 By바람의종 Views7559
    Read More
  25. 태극 전사들

    Date2022.01.29 By風文 Views123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