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26 18:49

주소서

조회 수 589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주소서

언어예절

‘공손함’을 한자락 걸치는 말이 여럿 있다. 그 중에서도 ‘주다’는 젖먹이 때부터 익은 말로서, ‘주시다·드리다·올리다·바치다’란 높임말이 있고, ‘달라·다오’는 주로 평대에 쓴다. 하느님·임금 …한테 비는 ‘~ 주시옵소서’ 꼴이 맏높이는 말이다. 이는 남에게 베푸는 맛을 풍기는 까닭에 잘못 쓰면 곤란을 당할 수도 있다. 예컨대 집안 청소를 하면서 “오늘은 어디 청소 한번 해 줄까?”란다면 가족이 듣기에 거북할 터이다. 자기집 일을 하면서 무엇을 베푸는 말투인 까닭이다. 무엇을 요청·애원·청원할 때 ‘-어 주다’ 꼴을 특히 많이 쓴다. 공손한 느낌을 주면서 바라는 뜻을 강조하는 구실을 하는 까닭이다. 문제는 그럴 것까지 없는 말에서도 버릇으로 쓴다는 점이다.

인사해 주시기 바랍니다/ 앉아서 하는 것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타 사항은 배부해드린 유인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말씀해 주시지요/ 저희에게 제일 좋은 학교를 허락해 주시옵소서/ 주문해 주신 제품은 오늘 발송됩니다 ….(손질한 말 ⇒ ~ 인사하시기 바랍니다/ ~ 양해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하십시오/ 말씀하시지요/ ~ 허락하소서/ 주문하신 제품은 ~.)

여기서 ‘주다’는 높임꼴 명사형(주시기)으로 바뀌어 ‘바랍니다’란 말의 목적어가 됐다. 에둘러 말할 때 즐겨 쓰는 서술어(바랍니다)로도 모자라 공손까지 더했으니 ‘공손을 뜬다’는 말을 들을 법하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01
2974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321
2973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808
2972 일절과 일체 바람의종 2012.11.21 15253
2971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227
2970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360
2969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799
2968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25
2967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71
2966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860
2965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71
2964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362
2963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768
2962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167
2961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2.10.15 10540
2960 응큼하다 바람의종 2012.10.09 13373
2959 진면목 바람의종 2012.10.09 10337
2958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149
2957 전년도, 회계연도 바람의종 2012.10.08 12397
2956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바람의종 2012.10.05 16967
2955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750
2954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6050
2953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4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