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9 04:19

참 좋지다

조회 수 6266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참 좋지다

고장말

‘-이다’는 서남부 경남인 하동·남해·통영·거제 등과 전남 동부인 광양·여천·순천 등지에서 말끝에 붙여 쓰는 말이다. ‘-이다’는 표준어의 ‘-요’처럼 들을이를 높이는 말이다. “요 동니 당골들은 다 떠나갔어이다.”(<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 거제도 편) “옛날에 우리 할부지가이다, 여 등너메 조그만 논도가리가 있었는데 ….”(위 책) “지끔 가몬 은제 오십니까이다?” 모음 뒤에서 ‘-이다’는 ‘-다’로 쓰이기도 한다. “닭장사하는 사람이 있어다.” “야, 그 질로는 없어, 없었어다.”(위 책)

‘-이다’의 또다른 형태는 ‘-이더’인데, 창원·함안·의령·김해 등지에서 쓰인다. “으제 갔어이더.” 모음 뒤에서는 ‘-더’로 쓰이기도 한다. “참말로 좋지더.” 이때 ‘-이더’는 표준어 ‘-ㅂ니다/습니다’와 대응하는 경상도말 ‘-이더’와는 다른 것이다. “괜찮으이더. 걱정 마이소!” “그 날짜를 내가 어긋치이 미안하이더.”(위 책 경주·월성군 편)

동사 어간에 붙여 쓰는 경상도말 ‘-이더’는 경기도말 ‘-이다’와 같다. “어머니, 나 장가가이다.”(위 책 경기 강화 편) “당신도 소용없이다.”(위 책)

경남·전남 일부에서 쓰이는 ‘-이다’는 ‘-요’와 대응하는 ‘-라우(전라도), -마씀/양(제주도), -유(충청도), -예(경상도)’ 등과 같이 어느 지역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말은 아니다. ‘-이다’는 섬진강 주변에서 쓰이는 특징적인 말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36
3040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130
3039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824
3038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26
3037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475
3036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825
3035 사십구재 바람의종 2007.11.09 6966
3034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834
3033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128
3032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242
3031 사주단자 바람의종 2007.11.10 11726
303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565
3029 삼척동자 바람의종 2007.12.12 6825
3028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898
3027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357
3026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35
3025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21
302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191
302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044
3022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42
3021 아비규환 바람의종 2007.12.14 7355
3020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707
3019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