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21 13:29

조회 수 7298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짐승이름

해동에 여섯 용이 나타나시니 모든 일에 하늘의 뜻 아님이 없도다.(용비어천가) 여기서 용은 조선 건국과 관련한 세종 임금의 선대들을 이른다. 용포·용루·용안·용상 …들이 모두 임금과 관련한 말들이다.

용의 옛말은 ‘미르’(훈몽자회)다. ‘미르’는 물(水)이니 ‘밀-물’로 이어지는 낱말 겨레라 할 수 있다. 용은 물과 불을 다스리는 상징이었다. 농경 시기에 물이란 신격일 만큼 소중한 것이었다. 한자음으로 용은 영(靈)과 상통하는 바 있다.

땅이름에도 ‘용 계열’이 숱하다. 용산(미르기메)·용천(미리내)·용소(미르기물)에다 용강·용전·용지·용성·용담·용두 …들이 곳곳에 있다.

단군신화의 풍백·우사·운사도 용의 의인화 과정 아닐까? 고주몽도 마찬가지. 해모수와 오룡거에서 용이 끄는 수레가 바로 용과의 관련을 드러낸다. 석탈해 임금도 용성국(龍城國) 사람이다. 백제 무왕이 연못의 용과 어머니 사이에서 났다.(서동요) 용건(龍建)의 아들 고려 태조 왕건, 용의 후손이란 창녕 조씨 시조 조계룡 …두루 같은 범주들이다. 용은 주로 임금과 같은 권위의 화신으로 받들린다.

이서의 마경초집(馬經抄集)에 동계(東溪) 선생이 곡천(曲川) 선생에게 말의 계보를 물어본다. 용에서 토끼로, 토끼는 기린으로, 기린은 말로 계보를 이어간다. 말도 천마사상과 같이 하늘과 통하는 신령성을 부여함을 보면 두루 짐승을 인간의 조상으로 믿는 토템의 한 얼 안에 넣어야 할 것이다. 용 날아 빛나는 거기 온갖 사랑 강물처럼.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9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28
2996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498
2995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767
2994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12
2993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5914
2992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376
2991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504
2990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843
2989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127
2988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207
2987 누다와 싸다 바람의종 2007.12.23 7808
2986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687
2985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957
2984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624
2983 된장녀 바람의종 2007.12.24 6841
2982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284
2981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816
2980 거덜이 나다 바람의종 2007.12.26 9605
2979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473
2978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975
2977 걸신들리다 바람의종 2007.12.27 12558
2976 경을 치다 바람의종 2007.12.27 13476
2975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5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