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13 11:05

철쭉

조회 수 8753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철쭉

풀곷이름
 




철쭉이 만발한 때다. 유명한 소백산 철쭉제가 이번 주말에 열리는 것을 비롯하여 철쭉제만도 열 가지 정도는 된다. 그런데 골짝과 높은 산 능선에서 불타듯 피는 것은 실은 산철쭉이다. 철쭉꽃은 진달래나 산철쭉보다 연하다.

‘철쭉’은 ‘척촉’( )에서 온 말이다. 1527년 최세진 <훈몽자회>에도 ‘>>텨’과 같이 변화과정이 실려 있다. 이후 ‘쳐>처축>처쭉>철쭉’ 등의 과정을 거쳤을 터이다.

경북 청송에서는 물가에 피어서 ‘수달래’라 부른다. 경남에서 부르는 ‘연달래’는 진달래에 이어 피어 붙은 이름이라는 견해도 있으나, 진달래보다 색이 연하기에 붙은 이름인 듯하다. 사전에서도 ‘연’(軟)으로 처리하고 있다.

꽃잎을 먹는 진달래를 ‘참꽃’이라 하는 데 반해 꽃잎의 찐득한 액에 독성이 있어 먹지 못하는 철쭉을 ‘개꽃’이라 하니, 그야말로 생활의 반영이다. 영어로는 거꾸로 진달래가 ‘어젤리아’(azalea)인 데 비해 철쭉은 ‘로얄어젤리아’(royal azalea)로 더 높게 평가한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소를 끌고 가던 노인이 수로부인에게 철쭉꽃을 바쳤다는 때가 요즘과 맞춤하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1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7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687
3062 두문불출 바람의종 2007.11.01 8866
3061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88
3060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500
3059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42
3058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121
3057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927
3056 대증요법 바람의종 2007.11.03 6096
3055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528
3054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914
3053 밀랍인형 바람의종 2007.11.04 10851
3052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044
3051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206
3050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25
3049 봉두난발 바람의종 2007.11.05 10594
3048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725
3047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7003
3046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200
3045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19
3044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49
3043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604
3042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8039
3041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5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