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31 18:42

쟈근아기

조회 수 7064 추천 수 10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쟈근아기

사람이름

상산군 황효원은 신씨가 아이를 못 낳는다고 버렸다. 임씨를 맞아 두 아들을 낳자 화목지 못하다며 임씨를 버리고 다시 신씨와 살았다. 신씨가 죽자 호적에 구사(종)인 ‘쟈근조이’를 아내로 올렸다. 상산군의 일을 사헌부에서 여러 차례 아뢰어 풍속을 바로잡도록 명을 내려 달라고 했으나 성종 7년(1476년), 임금은 더 논하지 말고 이씨(쟈근조이)를 상산군의 ‘움아내’(후처)로 삼도록 해 주라 일렀다.

중세 말 ‘쟉다·혁다·다’는 모두 작다는 뜻의 말이었다. 그러나 이름에서는 한결같이 ‘쟉다’에서 비롯된 ‘쟈근’(者斤/小斤)이 이름의 밑말로 쓰였다. 쟈근이·쟈근개·쟈근대·쟈근도티·쟈근만·쟈근모디·쟈근올미·쟈근토리 따위 사내이름과 쟈근이·쟈근가이(히)·쟈근금·쟈근년(녜)·쟈근덕이·쟈근비·쟈근아기·쟈근장이 …들 계집이름이 있다. <정종실록>을 보면 몸종을 ‘쟈근이’(小斤)로 부른다. ‘쟈근’이란 말이 작다는 뜻과 다른 뜻도 있음이 엿보인다.

크다는 말에 ‘한’과 ‘큰’이 있다. 땅이름에서는 ‘한’이 자주 쓰이고 사람이름에서 ‘큰’(大隱/大/大 )이 더 쓰였다. 사내이름에 큰가히·큰난이·큰노미·큰동이·큰쇠·큰아기·큰아희·큰이 따위가, 계집이름에 큰이·큰덕이·큰벌어지·큰비·큰아기 …들이 있다. ‘한’이 든 이름에 한이·한덕이·한덩이·한돌히·한비·한섬이·한쇠 …들이 쓰였는데, ‘한’이 꼭 ‘크다’는 뜻은 아닌 듯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9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4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202
2996 계피떡 바람의종 2011.11.16 11889
2995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59
2994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660
2993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941
2992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9025
2991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87
2990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914
2989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86
2988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84
2987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76
2986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652
2985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201
2984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1064
2983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708
2982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37
2981 고명딸 風磬 2006.09.16 15973
2980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378
2979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317
2978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564
2977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70
2976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495
2975 고뿔 風磬 2006.09.16 158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