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9 16:33

참 이뿌죠잉!

조회 수 616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참 이뿌죠잉!

고장말탐험

‘-잉’은 주로 전라도 사람들이 말 끝에 붙여 쓰는 말로,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경상도 쪽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이’가 쓰이지만, ‘잉’과는 그 쓰임이나 분포에서 차이가 있다. ‘-잉’은 받침 ‘ㅇ’이 탈락하면서 ‘이’가 콧소리로 실현되기도 한다. “가지 말어라이~.” 최명희 <혼불>이나, 채만식 <탁류>에서도 ‘잉’이 흔하다. “밀지 말어. 자빠지겄네잉.” “문 열어요, 잉? 나두 들어가게 ….”

“끼니 거르지 말고 꼭 챙겨 먹어라잉.” ‘차 조심허고잉.’ 여기서 ‘잉’에는 타관 땅 자녀를 걱정하는 어미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친구 사이 혹은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위협적인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기도 한다. “시기는(시키는) 대로 히라(해라)잉.” “딴소리허믄 재미없을 줄 알아라잉.”

이처럼 ‘-잉’은 마음을 더 간곡하게 혹은 위협적으로 드러낼 뿐만 아니라, 공감해 주기를 바라거나, 공감할 것이라고 예상될 때도 쓴다. “아따, 그 자석 드럽게 싸가지 없는 놈이구만. 그러지잉.” “참, 이뿌죠잉.”

‘-응개, 긍개, 근디’ 등과 함께 ‘-잉’은 전라도말의 한 지표가 되는 말이다. 타관에서 ‘-잉’을 쓰는 사람을 만나면 왠지 반갑고 정겹게 느껴지는 것은 고장말이 주민 사이 유대나 동질감을 확보하는 수단이자 정체성을 나타내는 표지인 까닭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0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468
3040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096
3039 천만에 말씀 바람의종 2010.01.20 9659
3038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43
3037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07.03.29 8633
3036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434
3035 처음처럼 바람의종 2010.11.01 11457
3034 처리뱅이 바람의종 2011.11.24 12271
3033 처녀치마 바람의종 2008.06.02 6812
3032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482
3031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41
3030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786
3029 참말과 거짓말 바람의종 2008.01.07 8782
3028 참말 바람의종 2009.09.01 9413
3027 참다와 견디다 바람의종 2010.08.03 9019
3026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635
3025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24
3024 참공약 바람의종 2012.11.21 17527
3023 참고와 참조 바람의종 2010.08.03 13903
3022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509
3021 참가, 참석, 참여 바람의종 2008.11.02 10476
3020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61
»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1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