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6 14:30

딜위·그믐딘이

조회 수 701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딜위·그믐딘이

사람이름

세종 12년(1430년), 보덕이란 여인이 永珍衣(영진의)와 싸우다 발길에 뺨을 차여 이레 만에 애가 떨어지고, 사흘 뒤 숨졌다. 사람을 때려죽이면 마땅히 목을 졸라 죽여야(교형) 하나 다친 곳도 없는데 때려죽인 죄로 보기는 어려웠다. 이에 임금은 한 등급 내려 벌을 주라 일렀다.

珍의 소릿값은 중세에 ‘딘’이었고 땅이름에서는 ‘돌’을 적을 때도 썼다. 중세 때 ‘술위’는 수레인데 이름에서 車衣(차의)로 적었다. 衣(의)는 ‘의/위/이’를 적는다. 珍衣는 ‘딘의/딘위/딘이’에 가까운 ‘딜위’를 적은 것으로 보인다. 딜위는 요즘의 찔레다. 딜위가 든 사내이름에 딜위·딜위대·늦딜위 따위가 있다. 永珍衣는 ‘영딜위/길딜위’였을 것이다. 1207년의 <대승선종 조계산 수선사 중창기>에는 딜위금(珍衣琴)이란 여인이 후원했다고 나온다. 세종 때까지만 보이는 ‘딜위’를 ‘珍衣’로 적은 표기는 고려의 내림으로 보인다.

珍(진)이 이름접미사로 쓰일 때 사내이름에 귀딘·그믐딘·금딘·똥딘·말딘·을딘이, 계집이름에 곰딘이 있다. 그믐진·똥진이란 이름도 있다. ‘-진’(進/眞)이 든 사내이름에 감진·귿진·문진·복진·손진·솔진·앙진·이진이, 계집이름에 논진·막진·망진·벽진·옥진이 등이 있다. ‘-딘/진이’는 ‘디다/지다’(넘어지다, 짐을 지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요즘말 ‘값지다·빚지다’는 중세 말에선 ‘귀하다·천하다’는 뜻으로 쓰였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14
3018 겸연쩍다, 멋쩍다, 맥쩍다 바람의종 2009.07.25 14432
3017 겹말을 피하자(上) 바람의종 2008.05.06 6134
3016 겹말을 피하자(下) 바람의종 2008.05.10 6159
3015 겹말을 피하자(中) 바람의종 2008.05.08 5279
3014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23
3013 겻불 風磬 2006.09.14 16069
3012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45
3011 경범죄 위반 바람의종 2010.09.29 7837
3010 경사가 가파라서 바람의종 2009.02.03 11854
3009 경위 바람의종 2010.05.12 10873
3008 경을 치다 바람의종 2007.12.27 13476
3007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469
3006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760
3005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338
3004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195
3003 경품과 덤 바람의종 2009.07.13 5935
3002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47
3001 계간 바람의종 2007.06.02 7110
3000 계기, 전기, 기회 바람의종 2010.11.16 10326
2999 계륵 바람의종 2007.06.02 5989
2998 계좌, 구좌 바람의종 2012.09.11 9948
2997 계집과 여자, 끝 風文 2022.08.20 17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