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6 14:30

딜위·그믐딘이

조회 수 7038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딜위·그믐딘이

사람이름

세종 12년(1430년), 보덕이란 여인이 永珍衣(영진의)와 싸우다 발길에 뺨을 차여 이레 만에 애가 떨어지고, 사흘 뒤 숨졌다. 사람을 때려죽이면 마땅히 목을 졸라 죽여야(교형) 하나 다친 곳도 없는데 때려죽인 죄로 보기는 어려웠다. 이에 임금은 한 등급 내려 벌을 주라 일렀다.

珍의 소릿값은 중세에 ‘딘’이었고 땅이름에서는 ‘돌’을 적을 때도 썼다. 중세 때 ‘술위’는 수레인데 이름에서 車衣(차의)로 적었다. 衣(의)는 ‘의/위/이’를 적는다. 珍衣는 ‘딘의/딘위/딘이’에 가까운 ‘딜위’를 적은 것으로 보인다. 딜위는 요즘의 찔레다. 딜위가 든 사내이름에 딜위·딜위대·늦딜위 따위가 있다. 永珍衣는 ‘영딜위/길딜위’였을 것이다. 1207년의 <대승선종 조계산 수선사 중창기>에는 딜위금(珍衣琴)이란 여인이 후원했다고 나온다. 세종 때까지만 보이는 ‘딜위’를 ‘珍衣’로 적은 표기는 고려의 내림으로 보인다.

珍(진)이 이름접미사로 쓰일 때 사내이름에 귀딘·그믐딘·금딘·똥딘·말딘·을딘이, 계집이름에 곰딘이 있다. 그믐진·똥진이란 이름도 있다. ‘-진’(進/眞)이 든 사내이름에 감진·귿진·문진·복진·손진·솔진·앙진·이진이, 계집이름에 논진·막진·망진·벽진·옥진이 등이 있다. ‘-딘/진이’는 ‘디다/지다’(넘어지다, 짐을 지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요즘말 ‘값지다·빚지다’는 중세 말에선 ‘귀하다·천하다’는 뜻으로 쓰였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6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643
301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07
3017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212
3016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36
3015 -분, 카울 風文 2020.05.14 1639
3014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1846
3013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643
3012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763
3011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578
3010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074
3009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825
3008 뒷담화 風文 2020.05.03 1067
3007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442
3006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999
3005 지슬 風文 2020.04.29 1409
3004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43
3003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403
3002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209
3001 휘거 風文 2014.12.05 25060
3000 CCTV 윤안젤로 2013.05.13 28135
2999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5949
2998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213
2997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8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