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3 02:44

교복물림

조회 수 6799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교복물림

북녘말

“벼수확의 10 이상이 교복물림처녀의 가느다란 팔에 실리였다.”(한웅빈·금수강산을 수놓는 처녀)


요즘 남녘에서는 선배가 후배에게 교복을 물려주는 일이 활발하다는데, 북녘에서도 그런 일이 많은 것일까? 그런데 ‘교복물림처녀’를 ‘교복을 물려받은 처녀’로 보면, 문장이 잘 해석되지 않는다. 농사를 짓는 일과 교복을 물려받는 일이 별로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북녘 말 ‘교복물림’은 ‘학교를 갓 졸업하여 사회 경험이 부족한 사람’을 홀하게 이르는 말이다. 남북에서 쓰는 ‘책상물림, 글방물림’과 같은 말이다.

‘물림’은 ‘밥상을 물리다, 책상을 물리다’처럼 ‘무엇을 다른 곳으로 옮기다’를 뜻하는 ‘물리다’의 명사형이다. ‘책상물림’은 공부하는 책상을 물렸으니 금방 공부를 마쳤다는 뜻이고, 이는 곧 실제 경험이 부족하다는 뜻이 된다. 글방은 옮길 수 없기 때문에 ‘물림’의 대상이 될 수 없으나, ‘책상물림’의 영향으로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글방을 금방 나왔다면 역시 경험이 부족할 것이다. 북녘에서는 ‘교복물림, 학생물림’도 쓰는데, 교복을 금방 벗은 것, 학생을 금방 벗어난 것 역시 ‘경험이 부족하다’로 연결된다.

재미있는 것은 남녘의 ‘교복물림’이다. ‘물리다’는 ‘재산을 아들에게 물리다’처럼 ‘무엇을 다른 사람에게 주다’의 뜻도 있는데, 남녘에서는 이 뜻으로 ‘교복물림’을 쓴다. 사실 ‘무엇을 옮기는 것’이나 ‘무엇을 누구에게 주는 것’이나 ‘대상물이 이동한다는 점’에서는 비슷하다. 그 미묘한 차이를 남과 북이 다르게 쓰고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7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3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252
422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24
421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52
420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16
419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12
418 상사화 바람의종 2008.07.06 6644
417 두런·가라치 바람의종 2008.07.06 7236
416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38
415 새이방우, 새미골 바람의종 2008.07.05 6710
414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787
413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813
» 교복물림 바람의종 2008.07.03 6799
411 널다리와 너더리 바람의종 2008.07.02 8099
410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303
409 무적쇠·구즉이 바람의종 2008.07.01 6733
408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577
407 아름다운 말 바람의종 2008.06.28 6170
406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38
405 봄맞이꽃 바람의종 2008.06.27 5317
404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263
403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41
402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35
401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8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