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2 05:49

다락밭

조회 수 612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락밭

북녘말

“높은 비탈의 흙을 파서 낮은 비탈에 성토하고 다락밭을 만들어갔다.”(조선말대사전)

다락밭은 어떤 밭일까? 다락밭은 계단밭이다. 남녘 사전에 없고 북녘 사전에만 있으니 다락밭을 북녘말이라 할 수도 있겠으나, 남녘에서도 다락밭을 종종 쓴다. 계단식으로 된 논은 다락논이라고 하는데, 남녘 사전에 다락논은 없고, 다랑논이 있으니 두 말이 같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다.

남북 두루 쓰는 다랑논은 ‘좁고 작은 논배미’를 뜻하는 ‘다랑이’에서 온 것이다. 대부분의 남녘 사전에서 ‘산골짜기 같은 곳에 층층으로 된 좁고 작은 논배미’로 풀이하는데, ‘층층으로 되었다는 것’보다는 ‘좁고 작은 것’이 더 중요하다. <큰사전>(1947)에서 ‘다랑이’를 ‘좁고 작은 논배미’로 풀이했는데, 이후의 사전에서 뜻풀이를 덧붙이면서 오해가 생기기 시작했다.

다락논·다락밭은 다락방을 뜻하는 ‘다락’에서 온 것으로, 다락이 방보다 높이 있다는 점과 층이 지도록 되어 있다는 점에서 연유한 것이다. 다락논과 다락밭이 산비탈에 있으므로 다락처럼 일반적인 논밭보다 높은 곳에 있고, 산비탈에 만들다 보니 층이 생긴다는 점에서 다락과 비슷하다.

다락논과 다락밭은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논은 물이 있어야 하므로 수평을 맞추자면 층이 지기 마련이지만, 다락밭은 물이 없어도 되므로 비탈을 따라 비스듬하게 만든 것도 있다. 북녘에서는 비탈을 따라 만들어 층이 지지 않은 밭을 ‘비탈밭’이라 한다. 다락논 가운데 좁고 작은 것은 다랑논이 된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0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518
3062 두문불출 바람의종 2007.11.01 8878
3061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415
3060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521
3059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51
3058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132
3057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934
3056 대증요법 바람의종 2007.11.03 6097
3055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558
3054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921
3053 밀랍인형 바람의종 2007.11.04 10855
3052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059
3051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207
3050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43
3049 봉두난발 바람의종 2007.11.05 10600
3048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736
3047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7021
3046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203
3045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26
3044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73
3043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608
3042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8057
3041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5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