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8 01:18

옥쌀·강낭쌀

조회 수 884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옥쌀·강낭쌀

북녘말

옥쌀은 “강냉이농마와 강냉이가루, 밀가루를 한데 섞어서 흰쌀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강냉이농마는 ‘옥수수 녹말가루’의 북녘말이다. 옥쌀은 1981년에 나온 <현대조선말사전>(제2판)에 처음 실렸다. 옥쌀은 197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후 사전에 추가된 말로 ‘옥쌀기계·옥쌀공장·옥쌀혁명’ 등이 있다. 북녘에서 옥쌀기계와 옥쌀공장을 만들어 생산량을 늘린 것은 식량난을 해결하려는 노력이라 할 수 있겠다.

강낭쌀·강냉이쌀은 “강낭알을 타개서 겨를 벗기고 만든 쌀”이다. 강낭알은 옥수수 알을 가리키고, ‘타개다’는 “낟알을 망돌(맷돌)로 갈아서 쪼개는 것”이다. 남녘에서는 “콩을 타서 콩국수를 만들다”와 같이 ‘타개다’ 대신 ‘타다’를 쓴다. 강낭쌀은 ‘옥수수쌀’이다.

지금은 음식물 쓰레기가 너무 많아 문제지만, 남녘도 식량난에서 벗어난 지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불과 삼십 년 전만 해도 보릿고개, 춘궁기가 있었다. 남북 국어사전을 보면, ‘강피쌀·상수리쌀·핍쌀(피쌀)’ 등이 있다. 이제는 곡식으로 여기지 않는 강피·상수리·피의 열매를 식량으로 먹었던 것이다. ‘귀리쌀(귀밀쌀)·기장쌀·녹쌀·메밀쌀·밀쌀·보리쌀·생동쌀·수수쌀·율무쌀·좁쌀’ 들도 있는데, ‘쌀’이라는 말이 붙은 것을 볼 때, 이들을 쌀처럼 중히 여겼음을 알 수 있다.

이제는 건강을 생각해 잡곡밥을 먹고, 잡곡이 쌀보다 비싼 것도 있다. 하지만 세계에는 북녘을 포함한 여러 나라가 식량난에 허덕이고, 식량이 무기가 될 날이 온다는 점도 알아둬야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3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38
3062 두문불출 바람의종 2007.11.01 8875
3061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408
3060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503
3059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47
3058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121
3057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929
3056 대증요법 바람의종 2007.11.03 6096
3055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532
3054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918
3053 밀랍인형 바람의종 2007.11.04 10853
3052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049
3051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207
3050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25
3049 봉두난발 바람의종 2007.11.05 10594
3048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725
3047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7003
3046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200
3045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22
3044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53
3043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604
3042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8039
3041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5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