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7 03:37

말과 생각

조회 수 621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과 생각

언어예절

마음과 느낌과 생각은 말 앞의 단계다. 사상·표현의 자유는 이를 겉으로 드러내고 펴는 자유를 일컫는다. 말과 글은 물론, 그림·음악·연극 등 드러내는 갈래와 틀은 갖가지다.

생각은 어떤가? 이는 드러나기 이전 단계여서 실체를 알 수 없으므로 자유니 부자유니로 얘기할 성질은 아니겠다. 그 영역 또한 드러낸 것 이상이다. 생각은 자주 바뀌고 먹기도 놓기도 잘하며, 삿됨과 욕심에 휘둘리기도 쉽다.

마음공부란 이 생각 동네를 규제하는 일이다. 그 주체는 생각 스스로일 수도 있고, 책과 경험, 관습·믿음들로 억누르고 갈피를 잡는다. 수련한다거나 갈고닦는다고 한다. 그 공부가 말과 몸짓으로 드러난 한 모습이 인사요 예절이다. 이는 사회나 공동체가 오랜 세월에 걸쳐 다듬고 익혀야 드러나는, 사람이 만든 자연스러움이다. 정치도 경제도 학문도 그런 바탕에서 벗어나면 탈이 생긴다.

“맘에 있는 말이라고 다할까 보냐!” “지나침은 모자람만 같지 못하다.” 답답하거나 나무랄 때 흔히 들추는 말이다.

정권이 바뀌면서 무섭고 끔찍한 말들이 자주 들린다. 예컨대 ‘영어 몰입교육’이니 ‘영어 공교육 완성 프로젝트’니 하는 말들은 넘쳐도 한참 넘친다. 국민이 자기 말글만으로도 불편 없이 잘살도록 힘쓰는 게 위정자가 먼저 할 노릇이다. 이미 온갖 말로 겨레의 자존심을 깊이 헤집었는데, 그 상처를 무엇으로 아물리겠는가.

아이 밴 어미나 아비는 삿된 생각이나 행동을 스스로 조심한다. 하물며 그 영향이 만인에게 미치는 나랏일을 하는 사람이야 두말해 무엇하랴.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1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6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627
3062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818
3061 망신 風文 2023.06.09 1818
3060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819
3059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820
3058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821
3057 와이로 / 5678님 風文 2020.06.05 1840
3056 띄어쓰기 특례 風文 2022.01.11 1842
3055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842
3054 -시- ① / -시- ② 風文 2020.06.21 1847
3053 마마잃은중천공? / 비오토프 風文 2020.07.03 1853
3052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1854
3051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869
3050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880
3049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880
3048 멀쩡하다 / 내외빈 風文 2020.06.18 1890
3047 돔 / 식해 風文 2020.06.23 1896
3046 위드 코로나, 아이에이이에이 風文 2022.10.05 1901
3045 눈으로 말하기 / 언어와 민주주의 風文 2020.07.08 1902
3044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1910
3043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933
3042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937
3041 문어발 / 징크스 風文 2020.07.02 19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