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3 21:59

망오지·강아지

조회 수 845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망오지·강아지

사람이름

조선시대에 떼 지어 다니며 집에 불을 지르고 재물을 훔치는 불한당이 있었는데 명화도적(明火盜賊) 또는 화적으로도 불렸다. 1431년, 수구문 밖 벌아재에 중이 초막을 짓고 살았는데 화적패가 불을 지르고 살림살이를 들고 튀었다. 영서역에 나타난 여섯 사람 중 두 사람이 구실아치에게 잡혔는데 그 중 한 사람이 망오지였다.

망오지는 망아지와 비슷하나 중세 말로 망아지는 ‘ㅁ.야지’였다. ‘-아지/어지/오지’로 끝나는 이름에 가야지·干阿之(간아지)·간오지·강아지·도야지·동어지·망오지·명오지·벌거지·숑아지·?아지·큰벌어지 따위가 보인다. 가야지는 본디 잔가지로, 버들개지를 버들강아지로 재해석하는 경우가 있는데, 중세 말은 ‘버들가야지’였다. 개와 강아지, ‘돝’과 도야지, 소와 송아지, 말과 망아지는 본디 어미와 새끼 관계다. 벌어지(버러지)/벌거지는 벌레의 다른 말로, 벌레/벌개라는 말에 ‘-어지’가 붙은 것이다. 干(간)이 생강을 가리킬 때는 ‘강’으로 읽는다고 하는데 干阿之는 간아지 아닌 강아지인 듯하다. 개오지(개호주)가 강아지 아닌 범 새끼임을 볼 때 간오지·동어지·망오지·명오지는 섣불리 뜻을 짐작하기 어렵다.

망오지가 국문받는 곳으로 가보자. 김경의 종 막산·두지 등이 화적으로 잡혀 형신을 받았으나 장물이 없었다. 박연 등을 문초하니 두지·막산·미마이·부존·셔듕 등과 장물을 나눠 가졌다고 불었다. 부존은 부전과 비슷하다. 아이들이 차고 다니는 노리개를 부전이라 하며, 부전나비는 예서 비롯되었다. ‘미마이’는 낯설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5145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1759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6667
    read more
  4. 좋게 말하기

    Date2008.06.12 By바람의종 Views8284
    Read More
  5. 짝태

    Date2008.06.13 By바람의종 Views8120
    Read More
  6. 망오지·강아지

    Date2008.06.13 By바람의종 Views8456
    Read More
  7. 꽝꽝나무

    Date2008.06.14 By바람의종 Views6553
    Read More
  8. 죽전과 삿대수

    Date2008.06.14 By바람의종 Views8211
    Read More
  9. 단말, 쓴말

    Date2008.06.15 By바람의종 Views6814
    Read More
  10. 강냉이

    Date2008.06.15 By바람의종 Views9536
    Read More
  11. 실구디·실구지

    Date2008.06.16 By바람의종 Views7853
    Read More
  12. 참나리

    Date2008.06.16 By바람의종 Views7670
    Read More
  13. 손돌과 착량

    Date2008.06.17 By바람의종 Views9123
    Read More
  14. 말과 생각

    Date2008.06.17 By바람의종 Views6206
    Read More
  15. 옥쌀·강낭쌀

    Date2008.06.18 By바람의종 Views8840
    Read More
  16. 간디·무작쇠

    Date2008.06.18 By바람의종 Views6490
    Read More
  17. ‘앗다’ 쓰임

    Date2008.06.19 By바람의종 Views6932
    Read More
  18. 가마즁이·언년이

    Date2008.06.19 By바람의종 Views7097
    Read More
  19. 꿩의바람꽃

    Date2008.06.19 By바람의종 Views6465
    Read More
  20. 오음산과 오름

    Date2008.06.21 By바람의종 Views9410
    Read More
  21. 발칙과 점잔

    Date2008.06.21 By바람의종 Views7259
    Read More
  22. 다락밭

    Date2008.06.22 By바람의종 Views6108
    Read More
  23. 논이·노리개

    Date2008.06.22 By바람의종 Views4848
    Read More
  24. 쥐꼬리망초

    Date2008.06.22 By바람의종 Views6585
    Read More
  25. 사음동과 마름골

    Date2008.06.23 By바람의종 Views786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