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3 21:56

짝태

조회 수 813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태

북녘말

짝태는 ‘명태의 배를 갈라서 밸을 꺼내고 소금에 절여서 넓적하게 말린 것’이다. 북어와의 차이는 ‘소금에 절여서 말렸다는 점’이다. 남녘에서는 짝태처럼 명태를 소금에 절여서 말리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남녘에서 북어는 ‘통째로 말린 것’과 ‘배를 갈라 내장을 꺼낸 뒤 넓적하게 말린 것’ 두 가지가 있다. 말리는 방식에 차이가 있는데, 둘 다 북어라 한다. 북녘에는 명태를 통째로 말린 북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사전에서 ‘밸을 따서 바싹 말린 명태’로 풀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녘의 초기 사전 <조선말사전>(1961)에서는 북어를 ‘말린 명태’로 풀이하고 있어서 남녘 사전의 풀이와 같다. 북어 말리는 방식이 원래 달랐는데 나중에 사전에 반영된 것인지, 말리는 방식이 나중에 달라진 것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북녘에서는 북어를 ‘마른명태’로도 쓴다.

짝태는 어디서 왔을까? 북녘에서 짝태와 같이 쓰이는 말로, ‘짝명태·짜개명태·개명태’가 있다. ‘짜개다’와 ‘명태’가 결합한 ‘짜개명태’에서 ‘짝명태’, ‘개명태’로 줄었다가 ‘짝태’까지 간 것으로 보인다. ‘짜개다’는 ‘수박을 둘로 짜개다’와 같이 둘이나 그 이상으로 갈라지게 하는 것이다. <조선말대사전>(1992)은 ‘물고기의 배를 짜개다’처럼 ‘속이 드러나게 헤쳐놓다’는 풀이를 하고 있다.

생태·북어·동태·명란·명란젓·창난·창난젓 등은 남북 두루 쓰인다. 다만, ‘황태’, 반쯤 말린 ‘코다리’, 명태 새끼 ‘노가리’는 북녘에서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0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6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603
3062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202
3061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23
3060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12
3059 거시기 바람의종 2011.11.14 10434
3058 거절과 거부 바람의종 2010.11.16 9045
3057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676
3056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51
3055 거짓말 바람의종 2009.09.06 8253
3054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1120
3053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364
3052 거치다와 걸치다 바람의종 2010.03.23 15173
3051 거치장스럽다 바람의종 2012.05.16 8081
3050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37
3049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風文 2020.07.18 2168
3048 건넛방, 건넌방 바람의종 2011.12.22 10768
3047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93
3046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660
3045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73
3044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218
3043 걸리적거리다 바람의종 2010.08.15 9708
3042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587
3041 걸맞은, 알맞은 바람의종 2008.04.07 90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