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5 20:33

한강과 사평

조회 수 770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강과 사평

땅이름

한강은 옛날 ‘사평’(沙平), ‘사리’(沙里)로 불린 적이 있다. <용비어천가> 제14장에 “한강은 옛날에 일컫기를 사평도라 불렸으며 속칭으로 사리진이라고도 했는데, 근원은 오대산에서 출발하여 영월군 서쪽에 이르러 ‘가근동’(加斤洞)에 합류하고, 충주 달천(達川)과 합쳐 연천(淵遷)을 이루며, 서로 흘러 안창수와 합치고 여흥부에서 여강이 되며, 천령현에서 ‘이포’(梨浦)를 이루고, 양근군의 ‘대탄’(大灘)과 ‘사포’(蛇浦)를 이루는 것이 하나의 줄기”라고 풀이했다. ‘가근동’은 한글로 적었고, ‘달천’은 ‘달내’, ‘연천’은 ‘쇠벼ㄹ. ’, ‘이포’는 ‘ㅂ.ㅣ애’, ‘대탄’은 ‘한여흘’, ‘사포’는 ‘ㅂ.ㅣ얌개’로 표기하여 토박이말과 한자말의 대응관계를 보였다.

‘이포’와 ‘ㅂ.ㅣ애’, ‘사포’와 ‘ㅂ.ㅣ얌개’, ‘대탄’과 ‘한여흘’의 대응은 쉽게 알 수 있고, ‘연천’의 ‘연’도 ‘소’를 옮긴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한강’의 또다른 이름인 ‘사평’과 ‘사리’는 어디서 비롯됐는지 쉽게 짐작되지 않는다. 그러나 ‘평’이 ‘벌’을 뜻하는 한자말이라는 점, ‘사리’가 속칭으로 기록된 점을 고려한다면, ‘사평’과 ‘사리’는 ‘서울’의 원형인 ‘서벌’ 또는 ‘서라벌’과 같은 형태의 말임을 알게 된다.

<세종실록지리지>에서 ‘경주부’ 역이름 중 ‘사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역을 ‘활리’(活里)라고도 했다. ‘사리’가 ‘살다’와 관련이 있음을 뜻하는 셈이다. ‘사평’, ‘사리’, ‘활리’ 등은 ‘삶’을 뜻하는 우리말을 적는 또다른 방법이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3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50
180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552
179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389
178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0929
177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1987
»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702
175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533
174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482
173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661
172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657
171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270
170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434
169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708
168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743
167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570
166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448
165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082
164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387
163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269
162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586
161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566
160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145
159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4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