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2 11:51

크리스마스나무

조회 수 1010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크리스마스나무

북녘말

북녘에서는 성탄절을 기념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종교를 상당 기간 금지하는 정책을 썼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녘 국어사전에는 성탄절과 관련된 말이 있다. ‘성탄절·성탄제·성탄일·크리스마스·성모’는 1961년 <조선말 사전>부터 있었고, ‘예수’는 81년 <현대조선말사전>(2판)부터, ‘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 성모마리아, 크리스마스트리, 크리스마스나무, 산타클로스, 공현축일, 소성탄절, 대강절’ 등은 92년 <조선말대사전>부터 실렸다. 92년 국어사전에 여러 낱말이 추가되고, 그 풀이가 객관적으로 바뀐 것은 큰 변화라 하겠다.

사전의 풀이를 보면, 80년대까지는 예수를 ‘∼우상을 이르는 말’로 풀이했으나, 92년 사전에서는 ‘기독교의 개척자 … 숭상받는 구세주 …’와 같이 객관적이면서도 자세히 설명하였다. 성모 역시 ‘∼을 우상화하여 이르는 말’로 풀이하다가 ‘예수의 어머니인 마리아를 높여 이르는 말’로 바뀌었다. 예수그리스도는 ‘구세주인 예수’로 풀이했다.

크리스마스나무는 크리스마스트리를 다듬은 말이다. 일반에서 쓰이지 않는 말을 미리 실은 것이라고 가정해도, 사전에 실린 뒤에는 그 말이 일반에 알려졌을 것이다. 외국인이 이용하는 북녘의 호텔이나 상점에 크리스마스나무 장식을 했다는 얘기가 있는 것을 보면, 그것이 비록 외국인을 위한 것이라 하더라도 북녘에 성탄절의 영향이 있는 셈이다. 성탄절이 종교적인 행사에서 연말의 세계적인 축제로 발전했기 때문에 북녘에도 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3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7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702
312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671
3127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842
3126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489
3125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363
3124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7964
3123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140
3122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06
3121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631
3120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32
3119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070
3118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756
3117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531
3116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035
3115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569
3114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689
3113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365
3112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07
3111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093
3110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670
3109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289
3108 갑질 風文 2024.03.27 1394
3107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8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