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4 01:54

에두르기

조회 수 7019 추천 수 3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에두르기

언어예절

돌려 말하거나 날을 누그러뜨려 하는 말법들(완곡어법·헤지)을 ‘에두르기’라 싸잡는다. 이는 껄끄런 말을 부드럽게, 아닌 걸 긴 것처럼 베풀거나 말꼬리를 흐리는 등으로 그 얼안이 넓어진다. 말글로 먹고 사는 이, 판단·분석·주장을 전문으로 하는 법조인·학자·정치인 두루 그 애호가들이다.

선거 유세 쪽은 에두르기가 좀 덜하다. “여러분께서 저를 ○○○으로 뽑아주신다면 …/ 제가 된다면 …”을 깔고 있으니 굳이 에둘러 말할 게 없다. 거짓일지언정 믿음과 확신을 주자면 에두를 짬이 없는 까닭이다.

에두르기에 종사하는 말과 말투는 갖가지다. 입음꼴, 인용, 겹부정, 갖은 비유, 도움토들이 대표선수다. 딱히 한정하기는 어려우나 두드러진 표지들을 들추면 “-적(的), -성(性), 보여진다, 여겨진다, 생각된다, 생각에 따라서는, 하나의, 일종의, -ㄹ 수, -겠-, 이른바, 가능성, 어쩌면, -ㄹ 것이다, -고 하겠다, 아마도, 거의, 주로, 크게, 비교적, 그리, 다소, 적잖다, 지나치지 않다, 무시할 수 없어 보인다, 곤란하다, 무리가 있다, 필요성이 제기된다, 필요로 한다, 우려가 있다, 하고도 남는다, 알려져 있다, 판단되어진다, 듯하다, 성싶다 ….” 재미있는 것은 외래말투가 많다는 점이다.

에두르기는 잘만 쓰면 상대에게 겸손·공손·헤아림으로 다가가는 방편이 된다. 문제는 버릇으로 막 쓴다는 현실이고, 비겁·부정직·무책임을 드러내는 말투로 떨어질 위험이 높으며, 결국 꼬리가 몸통을 흔들어 군말이나 다리아랫소리가 되게 한다는 점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6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643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197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182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81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07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168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375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287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171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932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729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896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889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847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802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799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14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067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807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786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799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856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7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